봉하마을 찾은 潘…친노지지자들 거센 항의시위 속 盧묘역 참배

봉하마을 찾은 潘…친노지지자들 거센 항의시위 속 盧묘역 참배

입력 2017-01-17 13:37
업데이트 2017-01-17 13: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노사모 등 친 단체 묘역입구서 ‘비판 현수막’…潘 침묵속 애도

이미지 확대
봉하마을에서 항의받는 반기문
봉하마을에서 항의받는 반기문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이 17일 경남 김해시 봉하마을 노무현 전 대통령 묘역을 참배하려고 하자 ‘노무현을 사랑하는 사람들의 모임(노사모)’ 회원 등이 비난 글을 적은 피켓을 든 채 거세게 항의하고 있다.
김해 연합뉴스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이 17일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이 잠든 경상남도 김해 봉하마을을 찾았다.

반 전 총장은 노무현 정부 시절 노 전 대통령으로부터 외교통상부 장관과 유엔 사무총장 후보로 발탁된 각별한 인연이 있다. 유엔 사무총장 10년 임기의 디딤돌을 노 전 대통령이 놓아준 셈이다.

그러나 보수 성향의 대권 주자로 인식되며 노 전 대통령의 ‘동지’인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대립하게 된 탓에 반 전 총장을 맞이하는 분위기는 따뜻하지만은 않았다.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의 묘역에 참배하고 권양숙 여사에게 귀국 인사를 했지만, ‘친노(친노무현)의 성지’로 불리는 봉하마을의 공기는 반 전 총장에게 다소 싸늘하기까지 했다.

친노와 친문 성향 정치인과 단체들 사이에서는 반 전 총장을 ‘배신자’로 칭하기까지 했다.

반 전 총장이 유순택 여사와 함께 노 전 대통령의 묘역을 찾는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노무현을 사랑하는 사람들의 모임(노사모)’ 등 친노 단체들이 반 전 총장을 비판하는 각종 현수막을 들고 일찌감치 묘역 입구에 도열했다.

현수막은 ‘배신자라 않겠다. 잘 왔다 반기문’, ‘배은망덕 기름장어, 봉하마을 지금 웬일?’, ‘굴욕적 한일 합의 환영한 반기문은 할머니 앞에 무릎 꿇고 사죄하라’ 등 거친 말들로 가득했다.

반 전 총장은 오전 9시 40분께 묘역에 도착했다. 큰 몸싸움은 없었지만, 입구에 모여있던 시위대와 경찰, 취재진이 한 데 뒤엉키면서 반 전 총장이 묘역으로 발걸음을 옮기는 데 애를 먹기도 했다.

반 전 총장은 별다른 발언 없이 줄곧 차분한 표정으로 묘역 앞에서 헌화 후 참배했다.

참배를 마치고 다시 돌아나와 적은 방명록에는 “따뜻한 가슴과 열정으로 ‘사람 사는 사회’를 구현하기 위해 헌신하신 노무현 대통령님께 무한한 경의를 표한다”면서 “대한민국의 발전을 위해 미력하나마 진력하겠다”고 적었다.

이어 반 전 총장은 노 전 대통령의 마지막 비서관인 민주당 김경수 의원의 안내를 받으며 권양숙 여사를 자택을 예방했다.

반 전 총장은 권 여사와 30분간 비공개로 대화를 나눈 뒤 기자들과 만나 “노무현 대통령의 말씀과 리더십은 아직도 국민 가슴 깊이 남아있다”고 말했다.

또 “노무현 대통령께서 정치교체를 해야 한다고 말씀하셨던 것도 아직 우리 가슴 깊이 남아있다”며 노 전 대통령의 정신에 공감대를 표했다.

앞서 반 전 총장 측은 기자들에게 지난 2008년 반 전 총장이 방한했을 당시 노 전 대통령과 안부 전화를 한 내용을 소개하기도 했다.

당시 반 전 총장이 “봉하마을로 찾아뵙지 못해 죄송하다”고 하자, 노 전 대통령은 “무슨 말씀을요. 제가 오히려 서울 가서 만나지 못해 미안하다”고 답했다고 반 전 총장 측은 전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