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지지율 34% 최저치… “잘못한다” 부정평가 첫 60% 넘어

文 지지율 34% 최저치… “잘못한다” 부정평가 첫 60% 넘어

강주리 기자
강주리 기자
입력 2021-01-03 14:02
업데이트 2021-01-03 14:0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리얼미터 여론조사 결과

文 부정평가, 부울경·서울 모두 60% 넘어
국민의힘 34.2%, 민주당 28.7%
이미지 확대
문재인 대통령이 28일 오후 청와대에서 열린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발언을 마치고 있다. 2020. 12. 28 도준석 기자pado@seoul.co.kr
문재인 대통령이 28일 오후 청와대에서 열린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발언을 마치고 있다. 2020. 12. 28 도준석 기자pado@seoul.co.kr
이미지 확대
문재인 대통령이 28일 오후 청와대에서 수석·보좌관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2020.12.28  도준석 기자 pado@seoul.co.kr
문재인 대통령이 28일 오후 청와대에서 수석·보좌관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2020.12.28
도준석 기자 pado@seoul.co.kr
문재인 대통령의 국정 수행 지지도가 현 정부 들어 가장 낮은 수준인 34.1%로 떨어졌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3일 나왔다. ‘여직원 성추행 사건’으로 인한 박원순 전 서울시장과 오거돈 전 부산시장의 후임을 뽑는 서울·부산시장 보궐선거를 4개월 앞두고 국민의힘은 34.2%, 더불어민주당은 28.7%를 기록했다. 서울은 민주당이 오차범위 내에서 국민의힘보다 우세하게 나온 반면 부산에서는 국민의힘이 민주당을 크게 제쳤다.

文 부정평가 61.7%…TK·충청권 높아
광주·전라 “잘했다” 과반 넘어

리얼미터가 YTN 의뢰로 지난 1∼2일 전국 만 18세 이상 1000명을 상대로 조사한 결과, 문 대통령의 국정 수행 지지율(긍정평가)은 34.1%로 조사됐다.

부정평가는 61.7%로 리얼미터 조사 기준 처음으로 60%를 넘겼다. 긍정평가도 현 정부 출범 후 최저치다.

지역별로는 광주·전라(50.2%), 제주(42.9%), 강원(37.2%), 인천·경기(37.0%) 등에서 긍정평가가 높았다.

대구·경북(81.1%), 대전·세종·충청(67.7%), 부산·울산·경남(66.4%), 서울(60.7%) 등에서는 부정평가가 높았다.
이미지 확대
문재인 대통령이 2일 오전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을 찾아 현충탑에서 분향한 뒤 묵념하고 있다. 2021. 1. 2  도준석 기자 pado@seoul.co.kr
문재인 대통령이 2일 오전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을 찾아 현충탑에서 분향한 뒤 묵념하고 있다. 2021. 1. 2 도준석 기자 pado@seoul.co.kr
중도층 “文 잘못한다” 부정평가 68%
이념성향별로는 중도층에서는 긍정평가(30.1%)보다 부정평가(68.0%)가 높게 나타났고, 지지정당이 없다는 무당층에서도 긍정평가가 19.4%, 부정평가가 68.0%로 조사됐다.

정당 지지율은 국민의힘이 34.2%, 더불어민주당은 28.7%로 나타났다.

양당 격차는 5.5% 포인트로 오차범위(95% 신뢰수준에 ±3.1% 포인트) 안이다.

올해 4월 보궐선거 격전지인 서울에서는 민주당이 33.9%로 국민의힘(30.5%)에 오차 범위에서 앞섰다.

서울, 민주당 오차범위내 우세…34%
부울경, 국민의힘 크게 앞서…43%

반면 부산·울산·경남에서는 국민의힘이 42.6%로 민주당(21.9%)에 크게 앞섰다.

이외 정당은 국민의당 9.9%, 정의당 5.6%, 열린민주당 4.2% 순이었다.

자세한 내용은 리얼미터 홈페이지나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의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 연합뉴스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 연합뉴스
이미지 확대
더불어민주당 이낙연 대표(오른쪽)와 국민의힘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이 30일 국회에서 중대재해기업처벌법, 4ㆍ3특별법 등 법안 처리 등에 관해 논의한 뒤 헤어지고 있다.   2020.12.30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이낙연 대표(오른쪽)와 국민의힘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이 30일 국회에서 중대재해기업처벌법, 4ㆍ3특별법 등 법안 처리 등에 관해 논의한 뒤 헤어지고 있다. 2020.12.30
연합뉴스
강주리 기자 jurik@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