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연구실 70% ‘공기 중 발암물질’…2곳은 기준초과

서울대 연구실 70% ‘공기 중 발암물질’…2곳은 기준초과

입력 2016-06-01 07:22
업데이트 2016-06-01 07: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서울대 환경안전원, 2015년 연구실 공기오염도 측정보고서 발간

미세먼지 등 공기 중 유해성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서울대 연구실 70%는 공기 중에 발암물질이 떠다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대 환경안전원은 작년 11월부터 12월까지 교내 1천300여개 연구실 중 15개 기관 70개 연구실을 대상으로 실내공기질을 측정한 결과를 담은 ‘2015년 연구실 공기오염도 측정보고서’를 최근 발간했다.

측정 결과 70개 연구실 중 50개 연구실에서 1급 발암물질인 벤젠이 검출됐고 이중 2개 연구실에서는 권고기준(30㎍/㎥)을 초과했다. 농생대 한 연구실의 경우 벤젠의 농도가 권고기준의 6배가 넘는 187.4㎍/㎥에 달했다.

벤젠은 화학공정에서 용매로 사용되지만 발암성이 높아 대체 용매 사용이 권장되는 화학물질이다.

이산화탄소는 4개 연구실(5.7%)에서 사무실 관리기준인 1천ppm을 넘어섰다.

실내공기 오염물질로 명시되지 않지만 호흡기 질환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진 황산화물의 경우 대기기준을 초과한 경우가 2곳 중 1곳이었다.

이 물질은 주로 자동차 배기가스, 흡연, 산업단지 배출가스 등이 주 생성 원인이다. 대기기준으로는 1시간 평균치 0.15 ppm 이하, 24시간 평균치 0.05 ppm 이하, 연간평균치 0.03 ppm 이하로 규정된다.

총 70개 연구실 중 36곳에서 황산화물이 검출됐으며 측정범위는 0.10∼0.30ppm(평균농도 0.20ppm)으로 이 기준을 훨씬 상회했다.

실내 공기질 개선을 위한 장치가 수립되지 않거나 ‘안전불감증’을 보이는 연구실도 많았다.

환기를 위한 팬이 설치되지 않은 곳은 32곳으로 전체 45.7%에 달했고 환기팬이 있어도 가동하지 않는 연구실이 15곳이나 됐다.

최근 함께 발간한 ‘서울대 실험실 안전백서’에 따르면 작년 1천108개 점검 대상 실험실 중 장비, 약품 등의 보관·관리를 위한 일일점검을 하지 않은 실험실은 514개(46%)에 달한다.

서울대 환경안전원은 1일 “연구실에 대한 공기오염물질 유지와 권고기준 및 관리법령이 제정돼 있지 않아 현행기준과의 비교에 어려움이 있다”면서도 “연구활동종사자를 보호하기 위해 조사 결과를 활용해 장기적인 개선책을 도모하겠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