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라산 봄의 전령 300살 ‘최고령 목련’ 눈부신 만개

한라산 봄의 전령 300살 ‘최고령 목련’ 눈부신 만개

강동삼 기자
강동삼 기자
입력 2024-04-15 13:03
업데이트 2024-04-16 11:0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난해보다 5일 여 빠르게 개화
한라산 1000m 고지대서 자라
의약·향장품으로 산업화 가치 높아

이미지 확대
300년된 한라산 자생목련이 만개한 모습.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 제공
300년된 한라산 자생목련이 만개한 모습.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 제공
이미지 확대
300년 넘은 최고령 한라산 자생목련.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 제공
300년 넘은 최고령 한라산 자생목련.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 제공
이미지 확대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 제공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 제공
제주 한라산에서만 자라는 자생 목련 중 300년된 최고령 목련이 올해도 활짝 꽃을 피웠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는 지난 12일 한라산에 자생하는 국내 최고령 목련의 만개를 확인했다고 15일 밝혔다.

한라산 최고령 목련은 지난해 4월 17일에 개화했는데 5일 정도 빠르게 개화했다. 이 최고령 자생목련은 한라산 계곡부 해발 1000m에서 자라고 있다. 크기는 가슴 높이 둘레 약 2.9m, 높이는 15m다. 수령은 약 300년으로 추정된다. 한라산 일대 해발 400~1400m에서도 드문드문 발견되고 있다. 우리 주변에서 보는 목련은 백목련으로 중국산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 한라산 자생목련은 매그놀리아코부스 수종으로 우리나라 한라산과 일본에서만 자생하고 있다.

봄소식을 알리는 목련은 목련과에 속하는 대표 식물로 우리나라와 일본에 주로 분포하며 우리나라에서는 제주의 한라산 1000m 이하의 비교적 높은 고지대의 낙엽활엽수림대에서만 드물게 자란다. 현재 약 200여 그루가 남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가로수와 정원수로 흔히 볼 수 있는 백목련과는 흰색의 꽃이 피고 잎이 나중에 난다는 점에서 매우 유사하다. 그러나 꽃의 아래쪽에 연한 붉은 빛이 돌고 한개의 어린 잎이 달리며 꽃이 활짝 벌어진다는 점 등에서 구별된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 임은영 연구사는 “아름답고 향기로운 꽃으로 봄소식을 전하는 나무일뿐 아니라 의약품 및 향장품으로써 산업화 가치도 높다”면서 “자생 목련의 보존 및 보급 기반 조성을 위해 지속해서 개체군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한편, 접목과 파종을 통해 400그루의 어린 모종을 확보해 나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자생 목련은 소득자원으로써도 높은 가치를 지녔지만, 현재 개체군이 적고 어린나무 발생 역시 적어 시급히 보존해야 하는 제주지역의 귀한 식물”라며 “후계림 조성과 활용을 위한 기반 마련에 더욱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제주 강동삼 기자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