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제윤 “職 걸겠다”던 ‘우리금융 민영화’… 결국 해 넘길 가능성
민영화 1단계(지방은행계열)와 2단계(우리투자증권 패키지)가 우여곡절 끝에 성사됐지만 핵심인 3단계(우리은행 매각)가 시원하게 뚫리지 않아서다. ‘깃털’(경남은행, 광주은행, 우리아비바생명, 우리투자증권 등)은 팔았지만 ‘몸통’(우리은행) 매각이 영 신통치 않다.
교보생명은 18일 정기 이사회를 열어 우리은행 경영권 지분 인수 예비입찰 참여를 위한 가이드라인을 결정했다. 현재 우리은행 매각은 정부(예금보험공사) 지분 30%를 한꺼번에 넘기는 ‘경영권 매각’과 18%를 희망자에게 나눠 파는 ‘소수 지분 매각’ 등 두 갈래(투 트랙)로 진행되고 있다. 소수 지분은 연기금과 국내외 펀드 등이 관심을 나타내고 있지만 경영권 매각은 입질도 거의 없다.
교보생명 측은 “입찰 참여 여부를 포함해 (참여 결정 시) 구체적인 가격과 수량 등은 조만간 열리는 이사회 내 경영위원회에서 결정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교보생명은 당초 우리은행 인수전에 참여한다고 밝혔다가 돌연 ‘추후 결정’으로 말을 바꿔 여러 뒷말을 낳고 있다. 인수전에 뛰어들어 봤자 ‘금산분리’(산업자본의 금융자본 소유 금지)에 걸려 승산이 없다고 보고 발을 빼려 하는 것 아니냐는 분석이다. 교보는 그동안 공개적으로 우리은행 인수 의지를 적극 밝혀 왔다.
여론은 부정적이다. 신창재 교보생명 회장이 지분 34%를 가진 최대 주주이기 때문이다. 공적인 성격이 강한 은행을 개인, 그것도 ‘오너 세습’ 일가에 넘긴다는 것이 금융 당국으로서도 부담이다. 돈도 부족하다. 교보생명의 자금 동원력은 1조~1조 3000억원 수준. 우리은행을 인수하려면 2조원가량을 외부에서 끌어와야 한다. 은행산업 경험도 없다.
교보생명이 아예 입찰에 참여하지 않을 경우 장(場)이 서기도 전에 파장하는 분위기로 흘러 ‘참여 유보’라는 어정쩡한 태도를 내놓은 것 아니냐는 분석도 있다. 입찰 자체가 무산되면 금융 당국으로서는 또 한 번 체면을 구기게 된다.
하지만 교보가 입찰전에 뛰어들더라도 유효경쟁 성립은 어려워 보인다. 신한, KB, 하나 등 대형 금융지주사들은 이미 인수 의향이 없다고 밝힌 데다 각종 사건·사고와 인사 등으로 제 몸 추스르기에도 바쁜 실정이기 때문이다. 덩샤오핑(鄧小平) 전 중국 최고지도자의 손녀사위가 경영을 맡은 중국의 안방보험이 눈독을 들인 것이 사실이지만 ‘해외 자본에 국내 은행을 넘길 수 없다’는 부정적 여론이 압도적이라 입찰 가능성은 작다. 이런저런 이유로 ‘마뜩지 않은’ 대상자들만 있어 네 번째 민영화 시도도 결국 무산될 공산이 높아졌다.
금융 당국 관계자는 “우리은행을 인수해 제대로 경영할 만한 유력 후보군이 아직 나타나지 않은 것은 사실”이라며 매각 연기 가능성을 내비쳤다. 우리은행 매각 입찰일은 오는 28일이다.
윤석헌 숭실대 교수는 “민영화 원칙 중 ‘공적자금 조기 회수’는 이미 물 건너갔고 ‘금융산업 발전’은 우리은행 사기 저하 및 평판 하락 등으로 실패한 상황”이라며 “법 개정을 통해 (우리은행 인수) 문턱을 더 낮출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백민경 기자 white@seoul.co.kr
2014-11-19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