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외환보유액 3천631억달러…6억3천만달러 감소
한국의 외환보유액이 넉달째 줄었다.외환보유액이 4개월 이상 연속 줄어든 것은 글로벌 금융위기 때인 2008년 4∼11월(8개월 연속감소) 이후 6년여 만에 처음이다.

연합뉴스
외환보유액 넉달째 ’감소’
한국의 외환보유액이 넉달째 줄었다. 외환보유액이 4개월 이상 연속 줄어든 것은 글로벌 금융위기 때인 2008년 4∼11월(8개월 연속감소) 이후 6년여 만에 처음이다. 한국은행은 지난 11월 말 현재 외환보유액이 3천631억달러로 한 달 전보다 6억3천만달러 줄었다고 3일 밝혔다. 사진은 이날 오후 서울 중구 외환은행 본점 위변조대응센터에서 직원이 달러화를 정리하는 모습.
연합뉴스
연합뉴스
외환보유액은 작년 7월부터 13개월 연속 사상 최고 행진을 하다 올해 8월 감소세로 돌아섰다. 미국 달러화의 강세로 보유 외화자산 가운데 유로화, 파운드화 등의 달러화 환산 가치가 준 데 따른 것이다.
11월 중 달러화 대비 유로화 가치는 1.2%, 파운드화 가치는 1.7%, 엔화 가치는 7.3% 각각 평가 절하됐다. 이들 통화의 가치가 하락하면서 달러화로 표시된 외환보유액이 감소했다는 것이 한은의 설명이다.

자산 유형별로 보면 외환보유액의 91.3%를 차지하는 유가증권이 3천315억3천만달러로 한 달 전보다 6억5천만달러 줄었다.
국제통화기금(IMF)의 특별인출권인 SDR(0.9%)와 IMF에서 교환성 통화를 수시로 찾을 수 있는 권리인 IMF포지션(0.6%)은 각각 4천만달러와 2천만달러 감소했다.
그러나 예치금(5.9%)은 212억7천만달러로, 전월보다 9천만달러 늘었다.
금은 전월과 같은 47억9천만달러다.
10월 말 기준 한국의 외환보유액 규모는 세계 7위 수준이다.
외환보유액이 가장 많은 나라는 3조8천877억달러(9월말 기준)를 보유한 중국이다. 일본(1조2천659억달러), 스위스(5천233억달러), 러시아(4천286억달러), 대만(4천215억달러), 브라질(3천758억달러)이 그 뒤를 이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