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의 “기업 신사업 진출 활성화 정책방향 환영”
경제계는 22일 정부가 발표한 2015년 경제정책방향이 저성장의 늪에서 벗어나기 위한 구조개혁 의지를 담고 있다며 환영의 뜻을 표했다.전국경제인연합회는 이날 논평을 통해 “우리 경제가 구조적 침체에서 벗어나 새로운 도약과 성장을 이루기 위해서는 경제 전분야에 걸친 구조 개혁이 시급하다는데 적극 공감한다”며 이 같은 뜻을 밝혔다.
전경련은 이어 “이번 경제정책 방향을 바탕으로 그동안 지연된 서비스산업과 노동시장 분야의 구조 개혁을 빠른 속도로 추진해야 할 것”이라며 “정책 추진 과정에서 우려되는 여러 사회갈등도 창의적이고 과감한 실행력으로 대응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경제계는 규제개혁, 창조경제, 경제혁신 3개년 계획, 서비스산업 활성화 등 핵심 경제정책들이 성공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적극 협력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대한상공회의소도 “경제혁신을 통한 재도약기반 마련, 확장적 거시 정책을 통한 경기회복, 가계부채와 자본유출입 등 리스크 관리에 주력하기로 한 것은 적절하다”고 평가했다.
상의는 논평에서 “노동시장 구조개선, 실물과 금융 양 부문간 선순환, 사업재편지원특별법(가칭) 제정을 통한 기업의 신사업분야 진출 활성화는 경제패러다임 선진화와 한국사회 역동성 회복에 새로운 모멘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상의는 이어 “경제정책방향이 성공적으로 추진될 경우 우리 경제는 성장궤도에 재진입할 수 있을 것이지만 또다시 시간이 허비되면 구조적 장기침체를 겪을 가능성이 크다”면서 “경제계는 창의와 협업으로 선진화된 기업가정신을 발휘함으로써 정부의 정책방향에 적극 동참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상의는 “정부와 기업, 국회와 노동계, 국민이 2015년은 경제재도약을 위한 마지막 골든타임이라는 인식을 하고 최고의 팀플레이를 펼치기를 희망한다”고 덧붙였다.
중소기업계도 정부의 내년도 경제정책 방향에 대해 “바람직한 방향”이라며 환영의 입장을 밝혔다. 그러면서 근로시간 단축 등 중소기업에 영향을 미치는 부분에 대해서는 세밀한 검토를 당부했다.
중소기업중앙회는 “경제활력 제고를 위한 거시정책의 확장적 운용과 창조경제혁신센터 확대, 제조업 혁신 3.0 종합대책 마련, 교육시스템 개편을 통한 시장요구형 인재 조기육성 등은 중소기업의 중장기적인 경쟁력 강화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환영했다.
이어 “통상임금과 근로시간 단축, 외국인력 장기고용 사업주부담금 부과, 최저임금 인상추진 등 중소기업에 당장 영향을 미치는 부분에 대해서는 세밀한 검토가 필요하다”며 “경기침체로 인한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어려운 상황을 감안해 투자확대 및 소비심리 회복 등을 위한 적극적인 정책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