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어폰 하나 가격이 395만원…누가 살까

이어폰 하나 가격이 395만원…누가 살까

입력 2016-01-14 15:55
수정 2016-01-14 15:5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음향 명가’ 슈어, 세계 최고가 이어폰 국내 출시

무려 395만원에 달하는 세계 최고가 이어폰이 국내에 출시돼 화제다.

글로벌 음향기기 전문 브랜드 슈어(SHURE)는 14일 세계 최초의 밀폐형 정전식 이어폰(모델명: KSE1500)을 국내에 출시했다고 밝혔다.

이 이어폰은 ‘음향기기 명가’로 알려진 슈어가 8년간의 개발기간에 걸쳐 완성한 제품이다.

이어폰은 기본적으로 내부 진동판이 움직이면서 소리를 만들어내는데 이 이어폰의 진동판(다이어프램)은 머리카락 굵기의 절반에 해당하는 0.002인치 공간에서 움직이면서 사운드를 만들어낸다. 진동판 무게도 1달러짜리 지폐의 5천분의 1인 0.002g에 불과하다. 그만큼 미세한 음질까지 잡아낸다는 의미다.

이 제품을 국내에 수입해 유통하는 삼아디엔아이 관계자는 “기존 이어폰이 볼링공 두 개를 들고 흔들어 소리를 냈다면 KSE1500은 빠르고 정확하게 움직이는 탁구공에 비유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슈어는 이미 2013년에 제품 개발을 끝냈지만 일반 이어폰과 같은 한 가닥으로 된 케이블을 만들기 위해 2년의 시간을 추가로 들였다. 통상 정전식 헤드폰의 케이블은 기술적 한계로 총 6개 가닥으로 제작됐다.

문제는 웬만한 오디오 장비와 맞먹는 가격이다. 스마트폰 크기만 한 전용 앰프(182g)를 들고 다녀야 하는 것도 단점이다. 비싼 데다 휴대성도 떨어져 일반 소비자용으로는 적합하지 않다.

삼아디엔아이 관계자는 “KSE1500은 당연히 일반 소비자를 타깃으로 한 제품은 아니다”라면서 “뮤지션이나 음향업계 종사자, 그리고 고음질 마니아층에게 어필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앞서 한 달간 이 제품을 체험했다는 가수 윤상 씨는 이날 행사장에서 “마치 VHS 비디오 테이프로 영화를 보다가 HD 화질의 영화를 보는 느낌”이라면서도 “음악업계 종사자인 저도 선뜻 구매하기엔 가격이 부담스러운 게 사실”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