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 카다피 체제 주역은
‘컨트롤타워가 없다.’
‘포스트 카다피’ 정권을 이끌어 나갈 리비아 반정부 세력이 맞닥뜨린 가장 큰 고민이다.
서방 국가가 합법정부로 인정한 주요 반정부 조직인 과도국가위원회(NTC)에는 카다피 체제에서 이탈한 관료들과 오랫동안 정부에 투쟁해 온 반정부 인사, 해외 망명자, 아랍 민족주의자, 이슬람교도, 사회주의자, 기업인 등 다양한 스펙트럼을 지닌 인사들이 포진해 있다.
이 가운데 차기 지도자 가능성이 가장 높은 인물은 2007년부터 카다피 정권에서 법무장관을 지내다 지난 2월 이탈한 무스타파 압델 잘릴 국가위원회 위원장이다. 위키리크스가 공개한 미국 외교문서에서 ‘공정한 시각을 가진 테크노크라트(기술관료)’라는 평가를 받은 잘릴 위원장은 구체적인 권력 이양 로드맵을 제시하는 등 나름대로 리더십을 발휘하고 있다. 하지만 과거 정부와 단절된 새 인물을 원하는 일부 반군들은 카다피의 다른 이너서클 출신과 마찬가지로 그에 대한 의구심을 거두지 못하고 있다.
국가위원회에서 외교정책을 맡은 마무드 잘릴 반군 임시정부 총리도 외국 정부와의 접촉을 늘리며 세력을 넓히고 있다. 미국으로 망명해 미시간주립대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받은 알리 타우니 국가위원회 재무·석유장관과 1975년 카다피 정권 전복을 모의하다 발각돼 감옥살이 끝에 21년 전 석방된 오마르 엘하리리 국가위원회 국방장관도 새 정부에서 주도적 역할을 맡을 인물로 꼽힌다.
하지만 최근에는 반(反)카다피 세력과 최근 반정부 세력으로 돌아선 카다피 이너서클 사이의 갈등이 반정부세력의 효율적인 리더십 구축 노력을 약화시키고 있다. 리비아는 또 140여개의 부족이 난립해 있어, 민족·부족 간 균열과 파벌주의로 갈등을 겪고 있다. 전문가들은 강경파가 득세할 경우 리비아가 2003년 미국의 침공을 받은 뒤 수니파와 시아파 간 갈등으로 혼란을 거듭했던 이라크의 실수를 되풀이할 수도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정서린기자 rin@seoul.co.kr
2011-08-23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