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계 파리테러 추모 물결 “내가 샤를리” “겁먹지마”

전세계 파리테러 추모 물결 “내가 샤를리” “겁먹지마”

입력 2015-01-08 09:41
수정 2018-01-03 15:1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파리 등 프랑스 전역 10만여명 추모집회

7일(현지시간) 프랑스 풍자전문 주간지 ‘샤를리 엡도’(Charlie Hebdo)의 파리 사무실에서 이슬람 극단주의자의 소행으로 추정되는 테러가 발생, 12명이 사망한 가운데 유럽 전역에 추모의 물결이 번지고 있다.

유럽인들은 프랑스뿐 아니라 영국·스페인·스위스·이탈리아·벨기에 등지에서 도 희생자들을 추모하고, 언론 자유를 옹호하는 한목소리를 냈다.

트위터와 페이스북 등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서는 출판사의 이름을 딴 ‘내가 샤를리다’(Je suis Charlie) 슬로건이 확산하고 있다.

사건이 발생한 프랑스에서는 10만여명이 거리로 나와 희생자들을 추모했다. 극단주의자들의 위협에 굴하지 않겠다는 ‘겁먹지마’(Pas Peur/ Not Afraid)라는 슬로건도 확산하고 있다.

파리에서 최소 3만5천명이 모였고, 리옹·툴루즈 등지에서 운집한 군중도 2만명을 웃돌았다고 현지 경찰을 인용해 AFP통신이 보도했다.

샤를리 엡도 사무실 인근 레퓌블리크 광장에 모인 이들은 언론의 상징인 종이와 연필, 펜을 흔들면서 행진했다.

기자들이 행렬을 이끌었지만 참석자의 대부분은 언론 자유를 지지하는 일반인이라고 AP통신은 전했다.

벨기에 브뤼셀의 유럽의회 건물 앞에는 추모객 1천여명이 모였고, 건물 밖 조각상에 ‘내가 샤를리다’라고 적힌 현수막이 내걸렸다.

스페인 마드리드에서는 수백명이 프랑스 대사관 앞에 모인 가운데 제롬 보나퐁 프랑스 대사가 밖으로 나와 이들과 함께 “언론 자유”를 소리높여 외쳤다.

런던 트라팔가르 광장에 모인 군중은 휴대전화 화면에 “내가 샤를리다” 슬로건을 띄우고 행진했다. 일부는 언론 자유를 의미하는 펜을 들고 프랑스 국가인 ‘라 마르셰예즈’를 합창하기도 했다.

런던 추모집회에 참가한 프랑스 유학생 알리체 블랑크는 AP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언론인과 언론매체가 어떤 얘기를 하건, 설령 그 얘기가 대다수의 생각을 대변하지 않더라도 위협을 느끼지 않고 발언할 권리가 있다”고 말했다.

런던에 거주하는 프랑스인 나빌 나디피도 “샤를리 엡도가 출판한 모든 것에 동의하지는 않지만 그게 테러를 정당화할 수는 없다”고 강조했다.

그밖에도 스위스 베른·제네바·로잔에서 700여명이 희생자들에게 조의를 표했고, 스웨덴 스톡홀롬과 네덜란드 헤이그, 오스트리아 빈 등지에서도 손에 꽃과 촛불을 든 추모객들이 잇따랐다.

온라인에서도 추모 열기가 이어져 페이스북 사용자들은 프로필 사진을 ‘내가 샤를리다’ 슬로건으로 바꿨고, 트위터에서는 이 해시태그(트위터에서 ‘#단어’ 형식으로 특정 주제를 쉽게 검색할 수 있게 한 기능)가 들불처럼 번졌다.

미국 워싱턴의 언론박물관 ‘뉴지엄’은 이날 오후 로비 화면에 ‘#내가 샤를리다’ 슬로건을 띄우기도 했다. 기관총을 배경으로 “이건 종교가 아냐”라고 적은 사진도

점차 늘어나고 있다.

캐나다 토론토 등에서도 ‘내가 샤를리다’라는 슬로건을 든 추모객들이 촛불시위에 나섰다.

김동욱 서울시의원, 개포택지 등 관리방안 용역 착수…노후 주거지 도시관리 첫발

서울시의회 김동욱 의원(국민의힘, 강남5)의 지속적인 관심과 예산 확보 노력에 힘입어, ‘개포택지’를 포함한 노후 단독주택지 도시관리방안 마련이 본격적으로 추진된다. 서울시는 지난 5월 ‘택지개발지구 단독주택지 도시관리방안 마련’ 용역을 착수했으며, 6월에는 착수보고회를 통해 과업 방향과 주요 과제를 공유했다. 이번 용역에는 개포택지를 포함한 총 10개 택지지역이 대상에 포함되며, 도시공간본부가 총 1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내년 2월까지 수행할 예정이다. 해당 용역은 지역별 기반시설 현황, 용도지역, 주택 노후도 등 실태를 조사하고 문제점을 분석해, 택지개발 당시 계획된 구조와 현재의 주거 수요 간 불일치를 해소할 수 있는 합리적 도시관리 기준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김 의원은 “개포택지는 준공 이후 수십 년이 지난 단독주택지가 밀집해 있음에도, 도시계획적 관리는 사실상 사각지대에 놓여 있어 주민들이 주차, 도로, 주거환경 등의 문제로 불편을 겪고 있다”며, “이번 용역을 계기로 개포택지의 여건을 반영한 실효성 있는 도시관리방안이 마련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올해 9월까지 기초조사와 분석을 완료하고, 내년 2월에 최종 용역 결과가 나올 예
thumbnail - 김동욱 서울시의원, 개포택지 등 관리방안 용역 착수…노후 주거지 도시관리 첫발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