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대통령 사진 앞자리에 전시…임정청사 재개관도 적극 협조김일성 사진은 게재했지만 이름은 적시하지 않아
중국이 내달 3일 항일전쟁 및 세계 반(反)파시스트 전쟁 승리 70주년 기념일을 앞두고 일본 제국주의의 침략에 맞서 함께 싸운 한국과의 인연과 연대감을 부쩍 강조하고 있다.항일전쟁 기념관에 우리 정부가 법통을 계승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관련 자료를 보강하는가 하면 박근혜 대통령의 광복절 기념행사 사진도 부각시켜 전시함으로써 한중간 역사 공조와 연대감을 부쩍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31일 중국인민항일전쟁기념관에 따르면 ‘7·7사변(노구교<盧溝橋> 사건)’ 78주년을 기해 재개관한 노구교 인근의 이 기념관은 별도의 한반도 코너를 만들어 임시정부 관련 자료 등을 대거 전시했다.
기념관 측은 ‘세계 각국의 반파시스트 전쟁 승리 기념’ 코너를 만들어 2013년 광복절 행사 당시 박 대통령이 태극기를 들고 만세를 부르는 사진을 가장 잘 보이는 자리에 배치했다.
이 코너에는 러시아와 이스라엘 등이 제2차대전 종전을 기념하는 사진들이 전시돼 있었지만 북한의 광복절 기념행사 사진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기념관 측은 임시정부의 활동을 중심으로 한국 독립운동 사료들도 상당수 전시했다.
윤봉길 의사의 사진과 상하이(上海) 의거 내용을 소개하는가 하면 임시정부 주석인 김구 선생과 안춘생·이시흥 등 광복군 주역들의 사진과 이름도 소개됐다.
임시정부가 8차례 옮겨다녔던 역사도 연표 형태로 안내돼 있었다.
중국 측은 김일성의 사진은 게재했지만 동북항일연군에 참가한 조선인들이라고 소개했을 뿐 구체적으로 이름을 적시하지는 않았다.
그동안 국민당의 지원 속에 활동해 온 임정의 활동을 중국 공산당 측은 크게 부각시키지는 않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 체제 들어 중국 당국은 항일전쟁 승리를 강조하면서 임정 청사와 광복군 유적들을 복원하는 등 한국 측을 향해 ‘우호’의 메시지를 보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중 양국은 지난해 하얼빈(哈爾濱)의 안중근 의사 기념관 설립과 시안(西安) 광복군 표지석 제막식 등 각종 이벤트를 통해 과거사에 대한 공조를 직간접적으로 모색해 오고 있다.
또 중국 측은 다음 달 4일 박 대통령이 방문하게 될 상하이(上海) 임정청사의 재개관 비용을 모두 부담한 것으로 알려졌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