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걸그룹’ 모란봉 악단 미녀들 “베이징 공연보러 오세요”

‘北걸그룹’ 모란봉 악단 미녀들 “베이징 공연보러 오세요”

입력 2015-12-10 16:57
수정 2015-12-10 16:5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북한판 걸그룹’ 연합뉴스와 인터뷰에서 소감 전해

김정은 북한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만든 ‘북한판 걸그룹’ 모란봉악단 단원들이 10일 첫 공연을 위해 베이징(北京)을 방문, 중국의 환대에 감사하다는 소감을 밝혔다.

모란봉악단 단원 일부는 이날 숙소인 베이징 민쭈(民族)호텔에서 연합뉴스와 만나 약식 인터뷰를 통해 이같은 소감을 전했다.

한 단원은 처음 공연을 위해 중국을 방문한 소감을 묻자 “(중국 측이) 환대해 주셔서 고맙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또 다른 단원은 밤새 기차를 타고 왔는데 피곤하지 않느냐는 질문에는 고개를 가로저으며 “안 피곤합니다”라고 말했다.

이 단원은 이어 “공연 준비는 잘 돼 가고 있느냐‘는 물음에는 ”보시면 알게 될 겁니다“라며 자신감을 보이면서 ”공연을 보러 오세요“라는 인사까지 건네며 밝게 웃었다.

기자가 만난 모란봉악단 단원 3명은 연합뉴스의 단체 사진촬영 요구에도 조심스럽게 응하면서 큰 거부감을 보이지 않았다. 이들의 말투에서는 북한 말씨도 거의 느낄 수 없었다.

이들은 카키색 군복 차림이었지만 잘 손질된 단발머리와 눈가에 스모키 화장, 옅은 색 립스틱 등 세련된 화장을 선보이며 빼어난 미모를 자랑했다.

모란봉악단은 지난 2012년 데뷔 때부터 파격적인 차림새와 서방 음악으로 북한 최고의 인기 걸그룹으로 주목받은 여성 10인조 밴드다.

치렁치렁한 웨이브 펌 혹은 쇼트커트 헤어스타일, 짧은 미니스커트와 허벅지까지 노출된 다리, 경쾌하고 선정적인 몸동작, 지미집 카메라 등 다양한 장비를 활용한 역동적인 무대 연출, 관객의 적극적인 공연 참여 방식 등 북한 안팎에서 각종 화제를 불러 모았다.

김정은 체제 출범과 함께 등장한 모란봉악단은 김 제1위원장이 이름을 직접 지었으며 일각에서는 ’북한판 소녀시대'라는 별칭으로도 불린다.

이번 공연단은 모란봉악단 및 공훈국가합창단으로 구성됐으며 규모는 100여명 이상일 것으로 추정된다.

이들은 민쭈호텔이 북한 공연단을 위해 1∼2층에 마련한 식당에서 함께 어울려점심을 먹었다.

기자가 들어가 본 2층 식당에는 군복 차림의 남녀 단원들과 북중 양국 관계자 등 100명 가까이가 함께 뷔페 식사를 하고 있었다.

기자는 모란봉악단 단원 외에 공훈국가합창단 단원 중 일부와도 접촉했으나 이들은 말을 아끼며 피하는 모습을 보였다.

자신을 북한 기자라고 밝힌 한 남성은 공연단 규모와 공연 일정 등을 묻는 질문에 ”언론에 나오지 않았느냐“, ”잘 모른다"는 등의 반응을 보이며 경계감을 드러냈다.

공연단은 9일 평양에서 전용열차 편으로 단둥(丹東)에 도착한뒤 오후 6시30분 중국 일반기차로 갈아타고 선양(瀋陽)을 거쳐 10일 오전 8시30분께 베이징 역에 도착했다.

이들은 베이징 역에서 중국 측과 주중 북한대사관 등이 마련한 승용차 6∼7대와 버스 8∼9대에 나눠 타고 민쭈호텔에 여장을 풀었다.

민쭈호텔은 50여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유서깊은 호텔로 공연장인 국가대극원에서 1∼2㎞ 거리여서 매우 가깝다.

북한 공연단이 이곳에 여장을 푼 것은 리허설 등 공연에 필요한 준비를 하는데 편리하다는 점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이들은 오는 12일 국가대극원의 첫 무대에 오르기 위해 11일까지 공연 준비에 공을 들일 것으로 예상된다.

모란봉악단은 공훈국가합창단과 함께 12일부터 3일간 베이징의 문화예술을 상징하는 국가대극원에서 북중 양국 고위급 인사들을 비공개로 초청한 가운데 무대에 오른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