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대선 남은 과정은
전대 전까지 부통령 후보 찾고11월 8일 대선 선거인단 뽑아
양당 후보 사실상 ‘운명의 날’

남은 경선은 6일(현지시간) 현재 민주당은 7곳, 공화당은 5곳이지만 각 당 후보가 확정된 상황에서 큰 의미를 두기는 어렵다. 지난 2월 1일 뉴햄프셔주에서 첫 경선이 시작된 이후 5개월여 만에 끝났다.
양당은 다음달 대통령과 부통령 후보를 공식화하는 전당대회를 연다. 공화당은 7월 18일부터 나흘간 오하이오주 클리블랜드에서, 민주당은 7월 25일부터 4일간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에서 갖는다. 양당의 승자는 전당대회 이전까지 경쟁 관계였던 이들을 아우르고 부통령 후보감을 찾는 한편, 대선 후보로서 공약과 정책을 가다듬어야 한다. 민주당에서 클린턴과 경쟁한 버니 샌더스(74)는 ‘슈퍼 대의원’들의 마음을 돌리겠다고 공언한 만큼, 경쟁 전당대회가 벌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공화당에서는 트럼프를 지지하지 않는 당내 ‘거물’ 일부는 전당대회 참석을 거부하고 있다. 전당대회가 축제의 장이 아닌 분열의 장이 될 가능성은 여전하다.
전당대회를 거친 양당 대선후보들은 본격적인 선거운동에 나선다. 유권자들과 직접 접촉하고 광고를 낼 뿐 아니라, 세 번의 TV토론에 나서야 한다. 9월 26일로 예정된 1차 TV토론을 시작으로 10월 9일과 같은 달 19일에 각각 2차와 3차 토론이 치러진다. 양당 부통령 후보들도 10월 4일에 TV카메라 앞에 선다.
후보들은 ‘운명의 날’인 11월 8일을 맞게 된다. 엄밀히 따지면 이날 각 주에서는 대선 선거인단을 뽑는다. 그러나 선출되는 각 주의 선거인단은 모두 그 주에서 진행된 투표의 승자를 지지한다는 암묵적 동의가 있어서 이날 정해지는 결과가 실제 대통령 선거일인 12월 9일까지 그대로 이어진다.
해가 바뀌고 1월 6일이 되면 대선 개표 결과가 정식 발표된다. 그리고 1월 20일 이들 가운데 한 명이 대통령 취임 선서를 하고 백악관의 주인이 된다.
워싱턴 김미경 특파원 chaplin7@seoul.co.kr
2016-06-08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