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현모 새달 7일까지 ‘사직동’ 전
동네마다 주는 익숙함과 기울기란 무엇일까.구현모 설치작가
지난 6일 종로구 안국동 PKM갤러리에서 마주한 작가는 “초등학교 시절 살던 사직동에 가 봤는데 25년 만에 다시 본 동네는 예전의 기억과 많이 달랐다”며 “동네나 기억이 변한 게 아니라 관찰자의 관점이 바뀌었기 때문이란 사실을 깨달았다”고 말했다.
작품은 어느 쪽이 실제 사직동의 모습이냐는 존재론적 질문에서 출발한다. 세상은 늘 객관적으로 존재하지만 그것을 해석하는 정보는 주관적이란 까닭에서다. 이어 아이가 자라면서 활동 공간이 점차 넓어지듯 작가의 관심도 집을 떠나 동네로 확장된다. 2000년대 중반부터 집에 주목해 온 작가의 관심도 이번 전시에서 이처럼 넓어졌다.
전시장 1층에 설치된 작품 ‘지붕’은 보는 장소에 따라 지붕이 되기도 하고, 바닥이 되기도 한다. 건물의 1층 바닥이 보도보다 더 낮아 바깥에서 안을 들여다보면 작품의 지붕은 바닥과 잇닿아 있는 듯하다. 유리창 속에서 서서히 잔잔하게 흔들리는 이 ‘지붕’은 차라리 흔들리는 집이란 표현이 딱 들어맞는다. 마치 메트로놈의 리듬에 맞춰 알루미늄 다리와 나무로 만든 평평한 지붕이 끝도 없이 흔들리는 듯하다.
“전시장 밖 경사진 골목길에 기울기가 있듯 동네마다 고유의 기울기가 있어요. 작품에서 바닥이 지붕이 될 수 있고, 지붕이 바닥이 될 수 있다는 모호함을 드러내고 싶었습니다.”
대학에서 도예를 전공한 작가는 독일에서 10여년간 활동하다 몇 년 전 귀국했다. 해외 생활 중 이리저리 떠밀려 이사하던 기억에서 착안해 유년기를 보낸 집에 초점을 맞췄다.
전시에선 ‘지붕’ 외에 ‘고광나무’, ‘동네’ 등의 작품도 등장한다. 나무와 알루미늄 등의 물성을 극대화하거나 동네의 모습을 영상에 담는 식이다. 그는 “어릴 적 집에서 처음 느낀 창문의 크기나 방향 등은 내가 처음 접한 우주였다”고 고백했다. 전시는 다음 달 7일까지.
오상도 기자 sdoh@seoul.co.kr
2014-02-11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