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종로구 평창동 갤러리세줄은 김춘수, 김택상, 제여란 작가를 초대해 중견작가 3인전을 연다. ‘見, 볼 견 나타날 현-Notice’라는 주제로 작가별로 일련의 작업을 통해 보이고 나타나는 과정에 주목한다. 김춘수는 붓을 사용하지 않고 손바닥과 손가락에 물감을 묻혀 직접 캔버스에 바르는 방식으로 자신만의 독특한 회화 언어를 구사한다. 김택상은 캔버스 뒤에서 또는 안에서 우러나는 내면의 빛을 담는 ‘숨 빛’(위)연작을 소개하고 제여란의 작품(아래)은 강렬한 색채와 격렬한 붓질로 자연의 역동성을 표현한다. 전시는 5월 2일까지. (02)391-9171.
도시공간의 재구성 ‘백승우-정정주 2인전’
종로구 삼청동 누크갤러리에서는 17일부터 한달 동안 도시공간을 주제로 평면과 입체작업을 하는 백승우-정정주 2인전이 열린다. 사진작가 백승우는 도시의 변화를 보여주는 디지털 합성프린트를, 조소를 전공한 작가 정정주는 도시의 황폐함을 3차원의 건축구조 안에서 보여준다. (02)732-7241.
여류화가협회, 한가람미술관서 43회 정기전시회
사단법인 한국여류화가협회(이사장 김경복)의 43회 정기전시회가 서초구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 2층에서 9~16일 열린다. 여류화가협회는 원로 작가와 중견, 젊은 작가까지 회원 280여명으로 구성돼 있으며 정기 전시회뿐 아니라 지방 전시, 기획전을 마련하고 봄과 가을에는 스케치 여행과 창작활동에 도움이 되는 강연회 등을 함께 마련하고 있다.
2015-04-07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