뮤지컬 작품 속의 캐릭터 탄생
‘캣츠’배우들이 직접 고양이 분장… 코끝·턱선 강조
英 초연부터 전통… 땀 흘려도 분장 안 지워져
‘시라노’
주인공의 콤플렉스 코, 그래도 못생겨선 안 돼
한국인 얼굴 맞는 비율 찾아… 제작에 두 달 반
‘헤드윅’
3단계에 걸친 특수처리 눈썹 제일 까다로워
눈물샘 부위에 글리터 얹어… 인조가발 사용

클립서비스 제공
뮤지컬 ‘캣츠’에 출연하는 배우들은 고양이 분장을 직접 한다.
클립서비스 제공
클립서비스 제공

클립서비스 제공
뮤지컬 ‘캣츠’에서 각양각색의 분장을 한 고양이들이 다 같이 춤을 추는 장면.
클립서비스 제공
클립서비스 제공
처음에는 분장 디자이너가 전체 메이크업을 해 주고, 그다음에는 반은 분장 디자이너가, 나머지 반은 배우가 완성하는 식으로 스스로 분장에 익숙해지는 과정을 거친다. 처음엔 서투를 수밖에 없어 1시간 30분 이상 걸릴 때도 있지만 분장이 손에 익은 배우들은 빠르면 40분 안에 완성한다. 2014년 새롭게 리바이벌한 버전을 들여와 국내에서 처음으로 선보인 이번 공연에서는 분장이 조금 달라졌다. 이전에는 얼굴 전체를 분장으로 채웠다면 이번에는 코끝과 턱선 사이 부분을 강조해 철저하게 고양이처럼 보일 수 있도록 했다.

‘캣츠’
배우들은 캐릭터별로 색깔이 다른 기본 베이스를 바르고 색조 화장을 한 후 가루 파우더를 바른다. 일종의 코팅 작용을 하는 파우더 덕분에 배우들이 연기하는 동안 땀을 흘려도 분장이 잘 지워지지 않는다. 이후에는 고양이의 요염함과 당당함을 살리기 위해 눈, 코, 입 주변에 정교한 라인을 그려 넣는다. 의상이나 가발로 가려지지 않는 목 부분까지 메이크업을 마무리하면 완성.

프로스랩 제공
뮤지컬 ‘시라노’에서 길쭉한 코가 콤플렉스인 낭만 검객 시라노를 연기한 배우 홍광호.
프로스랩 제공
프로스랩 제공

‘시라노’
김 디자이너는 인종별 코 모양에 대해 장시간 자료 조사를 한 끝에 한국인 얼굴에 맞는 적당한 비율을 찾아냈다. 수많은 재질로 샘플을 제작하고 수정, 보완 작업을 거친 뒤 지금의 결과물을 완성하기까지 2달 반이 걸렸다. 코를 배우의 얼굴에 부착할 때 사용하는 분장용 글루 역시 여러 번의 선택 과정을 거쳐 가장 부착성이 뛰어난 제품을 선정했다. 코의 재료는 비밀에 부쳤다. 시라노를 연기하는 배우 홍광호, 류정한, 김동완의 코 디자인은 모두 동일하지만 각자의 코 비율이 달라 실제로 부착하면 조금씩 다른 분위기가 연출된다. 세 사람의 피부톤이 달라 코 색깔로 어떤 배우의 것인지 구별 가능하다고 한다.

쇼노트 제공
뮤지컬 ‘헤드윅’에서 트랜스젠더 록가수인 헤드윅을 연기하는 배우 유연석. 진한 눈화장과 풍성한 금발 머리로 여성성을 강조했다.
쇼노트 제공
쇼노트 제공

‘헤드윅’
헤드윅이 착용하는 한껏 부풀어 오른 형태의 가발은 보통 머리숱보다 3배 많은 숱의 인조 가발을 사용한다. 인모 가발은 무대에서 지나치게 평범해 보이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는다. 체력 좋은 남자 배우들도 1시간 10분간 진행되는 분장 과정을 견디는 건 쉽지 않은 일이다. 장시간 앉아 있어야 하는 탓에 허리 통증을 호소하거나 어떤 배우들은 부족한 잠을 자기도 한다고. 그래도 불편한 시간을 견딜 수 있는 건 헤드윅 분장이 배우에게 선사하는 특별한 감정 때문이다. 채 디자이너는 “헤드윅 분장을 마치면 배우들이 다들 슬퍼진다고 말하는데 아름다움과 쓸쓸함이 공존하는 헤드윅의 인생이 분장에 투영되기 때문”이라며 “캐릭터의 독보적인 매력 덕분에 다시 출연한 배우들은 자신이 새롭게 해 보고 싶은 눈화장이나 헤어스타일에 대한 의견을 표출하는 데 적극적”이라고 말했다.
조희선 기자 hsncho@seoul.co.kr
2017-08-28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