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개어 달인 伊 추기경·65개어 구사 獨 외교관…그들에겐 뭔가 특별한 것이 있다

72개어 달인 伊 추기경·65개어 구사 獨 외교관…그들에겐 뭔가 특별한 것이 있다

입력 2013-10-12 00:00
수정 2013-10-12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언어의 천재들/마이클 에라드 지음/박중서 옮김/민음사/503쪽/2만원

많은 사람이 궁금해하는 언어 습득의 비법부터 말해야겠다. “언어 능력을 향상시키려면 도파민을 관리하고 몰입해야 한다.” 6개 이상의 언어를 사용하는 다중언어 구사자를 연구해 ‘언어의 천재들’(원제 Babel, no more)을 펴낸 지은이는 이렇게 말한다. 도파민은 즐거운 일을 하면 뇌에서 분비되는 신경전달물질로서 즐거운 일을 했다는 사실을 알려줘 사람들이 계속 즐거운 일을 하게 한다. 여러 가지 언어를 배우는 사람은 좋아서, 재미있어서, 즐거워서 언어의 세계에 빠져들었다고 말한다. 산만하고 충동적인 상태는 언어 습득의 장애 요인이다. 이를 해소하려면 몰입 상태에 빠져야 한다.

평범해 보이지만 가볍게 볼 일은 아니다. 전 세계 다중언어 구사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얻은 결론이기 때문이다. 이 밖에 언어를 배우려는 절박한 동기를 가져라, 언어 감각을 발달시켜라 등의 조언도 있다. 그러나 ‘아는 것보다 좋아하는 것이 낫고, 좋아하는 것보다 즐기는 것이 낫다’는 공자의 ‘지지자(知之者), 호지자(好之者), 낙지자(之者)’론처럼 ‘즐기고 몰입하라’는 말이 가슴에 와 닿는다. 저자는 지난한 과정을 거쳐 이런 결론에 이르렀다. 전·현직 다중언어 구사자를 찾아나서고 언어 습득과 관련된 신경과학을 공부하고 다중언어 지역을 순례했기 때문이다.

‘전설적인 언어 천재’는 이탈리아의 추기경 주세페 메조판티(1774~1849)로 72개 언어를 구사한 것으로 전해진다. 그는 외국인 전용 고해신부 시절에는 사형수 2명의 모국어를 밤새워 공부해 다음 날 아침 처형되기 전 이들의 죄를 사해줄 정도로 뛰어난 언어 습득 능력을 지녔다. 메조판티는 30개 언어에는 통달했지만 11개는 대화가 가능한 수준이었으며 14개는 공부는 했지만 사용한 적이 없었을 것이라고 분석한다. 60~65개의 언어를 아는 것으로 전해진 독일의 외교관 에밀 크렙스는 사후 뇌를 해부한 결과 언어 발달과 관련이 깊은 좌뇌의 브로카 영역이 과도하게 발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지은이는 이 영역의 발달이 유전적으로 타고난 것인지, 크렙스가 본격적으로 언어를 습득하기 시작한 12세 전후에 형성된 것인지 규명되지 않았다며 언어와 브로카 영역의 연관성에 대해서도 신중한 자세를 보인다.

임태순 선임기자 stslim@seoul.co.kr

2013-10-12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