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태경 “박원순 시장은 ‘똥볼원순’” 발언 논란

하태경 “박원순 시장은 ‘똥볼원순’” 발언 논란

입력 2015-06-16 10:45
수정 2015-06-16 10:4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늑장정부, 은폐삼성…나라전체가 봉숭아학당”

하태경 새누리당 의원
하태경 새누리당 의원
새누리당 하태경 의원이 16일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사태와 관련, 박원순 서울시장을 ‘똥볼원순’이라고 지칭해 ‘막말’ 논란이 일었다.

하 의원은 이날 CBS라디오에 출연, 박 시장의 지난 4일 긴급 기자회견을 비판하면서 “이번에 메르스 대응을 보면 나라 전체가 지금 봉숭아학당”이라면서 “늑장정부에 은폐 삼성, 박원순 시장은 똥볼원순”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박 시장이 메르스 확진 판정을 받은 삼성서울병원 의사(35번 환자)와 접촉했던 것으로 추정된 1천565명을 전원 격리했으나 감염자가 나오지 않은 것에 대해 “이게 완전히 엉뚱한 곳에 똥볼을 찬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이른바 ‘슈퍼전파자’로 판명난 14번 환자를 역학조사할 시간에 35번 환자 접촉자에 대한 격리에 집중했다며 “지자체가 협력해도 힘이 모자랄 판에 서울시만 엉뚱한 곳에 공을 차고 있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다만 “똥볼을 세게 차서 사회에 경각심을 일깨운 것은 있다”고 전제한뒤 “(그러나) 박 시장이 찬 볼이 정확하게 골대로 들어간 게 하나도 없다”고 거듭 비판했다.

하 의원의 발언과 관련, 한때 박 시장을 ‘똥볼원숭이’라고 지칭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논란이 커졌으며, 이후 ‘원숭이’가 아닌 ‘원순’이었다고 정정하는 해프닝이 벌어지기도 했다.

한편 새누리당은 이날도 박 시장의 메르스 대응 방식에 대해 정략적인 접근이라며 강도높은 공세를 이어갔다.

의사 출신의 박인순 의원은 MBC라디오에서 최근 상태가 악화된 것으로 알려진 35번 환자를 언급한 뒤 “박 시장의 기자회견 이후 극도의 스트레스가 면역력을 떨어뜨려 바이러스 증식을 더 심화시켰을 수도 있지 않았을까 조심스럽게 추측해 본다”고 말했다.

박대출 당 대변인은 국회 브리핑에서 구체적인 이름을 언급하지 않은 채 “일부 야권의 지도급 인사들이 불안을 조장하고 정치적인 시선을 끌려는 처신은 사태 해결에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면서 “메르스는 정치인 개인의 정치 디딤돌로 삼을 대상이 아님을 인식해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김경 서울시의회 문체위원장 “20년 근속자와 신입 급여 동일선...호봉제 도입 절실”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김경 위원장(더불어민주당, 강서1)은 묵묵히 국민과 시민의 보편체육 활성화에 이바지하는 생활체육지도자의 헌신을 기억하며, 이들에 대한 실질적인 처우개선 정책 실행을 주문했다. 김 위원장은 “현장에서 생활체육지도자들의 현실을 들어보면 정당한 보상조차 이뤄지지 못한 일들이 많다”라고 강조하면서, 생활체육지도자들의 “20년을 일해도 신입과 급여가 같아 생계유지가 어렵다”라는 호소에 눈물을 보이기도 했다. 김 위원장은 “2025년도 4월을 기준으로 도봉구, 마포구, 송파구 3개 자치구는 공무원보수규정을 준용해 생활체육지도자에 대한 호봉제를 시행하는 등 자체적으로 처우개선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것을 볼 때 서울시도 기계적인 보조금 집행만으로 제 할 일 다했다고 자부할 게 아니라 생활체육지도자의 사기를 저해하는 요인을 점검하고, 이를 혁파해 시민들의 생활체육 환경이 지속해서 개선될 수 있는 정책을 발굴해야 할 때”라고 언급했다. 이어 김 위원장은 “현재 단일급 체계로 급여를 받는 생활체육지도자들에게는 직업 활동이 어떠한 유인도 자극도 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라고 콕 짚어 이야기하면서 “지금과 같은 급여 구조로는 돈은 돈대로 쓰면서 성과
thumbnail - 김경 서울시의회 문체위원장 “20년 근속자와 신입 급여 동일선...호봉제 도입 절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