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캠프캐럴 고엽제 매립 2곳 더있다”

“캠프캐럴 고엽제 매립 2곳 더있다”

입력 2011-05-28 00:00
수정 2011-05-28 00:4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前 군무원 구자영씨 “소방서 앞 등 직접 파”

경북 칠곡군 왜관의 미군 기지 캠프 캐럴 내 고엽제가 매립된 곳이 헬기장 근처 말고도 두 곳이 더 있다는 증언이 나왔다.

캠프 캐럴에서 1960년대 말부터 33년간 군무원으로 근무한 뒤 미국에 정착해 살고 있는 구자영(72)씨는 26일 언론 인터뷰에서 이같이 주장했다.

구씨는 1972년 캠프 캐럴 내 독신장교 숙소(BOQ) 인근 공터와 소방서 앞 지역에 각각 깊이 30피트(9.14m) 정도, 테니스장 크기의 구덩이를 자신이 불도저를 동원해 팠으며, 그 두 곳의 구덩이에 비슷한 양의 독극물을 묻었다고 말했다. 그는 “구덩이에 드럼통 40∼50개, 5갤런짜리 캔 20∼30개, 병 종류 20∼30개를 파묻었다.”고 기억하면서 “구덩이에 묻은 것이 화학물질, 독극물이라는 얘기를 당시 들었다.”고 했다. 이어 “2∼3일 걸려서 구덩이를 팠고, 1∼2주일 동안 파묻었던 것 같다.”고 했다.

그는 “상사인 미국 문관이 크레인을 이용해 직접 묻었다.”면서 “내용물이 무엇이었는지 정확히는 모르지만, 독극물임에는 틀림없다. 베트남에서 쓰다 남은 것이라는 얘기도 들렸다.”고 했다.

그는 “이들 물질을 묻은 뒤 불도저로 땅을 고르다가 화재가 발생해 겨우 탈출한 기억도 있다.”면서 “지금도 그곳을 파 보면 불난 자국이 있을 것”이라고 했다.

구씨는 퇴역 주한 미군 병사 스티브 하우스가 증언한 헬기장 근처 매몰 상황과 관련, “그곳은 44공병대대가 직접 팠으며, 대규모로 (구덩이를) 만들었다.”면서 “나는 멀리서 지켜봤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정부 대응 태스크포스(TF)팀은 “한·미 양국은 추가로 사실 여부를 확인한 뒤 매립 의혹이 제기된 두 곳도 공동조사의 범위에 포함시키는 데 합의했다.”고 밝혔다.

워싱턴 김상연특파원·서울 유지혜기자

carlos@seoul.co.kr
2011-05-28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