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번째 국립공원 나오나”…백운산 지정 여부 관심

“22번째 국립공원 나오나”…백운산 지정 여부 관심

입력 2013-02-23 00:00
수정 2013-02-24 08:2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26일 광양, 구례 동시 주민공청회…작년 11월 공청회 무산

전남 광양 백운산이 국립공원으로 지정될지 초미의 관심을 끌고 있다.

전남도는 오는 26일 광양 마린 센터와 구례 종합사회복지관에서 백운산 국립공원 지정을 위한 주민공청회를 연다고 24일 밝혔다.

공청회에서는 국립공원 지정 타당성 조사와 연구결과, 지정 및 관리계획안 발표, 전문가 패널 등의 토의, 주민 의견 수렴 등이 진행될 예정이다.

이번 공청회는 지난해 11월 광양과 구례 일부 주민들의 회의장 점거 등 반대로 무산된 뒤 다시 열리는 것이다.

당시 주민들은 재산권 제약, 임산물 채취 애로 등 피해가 크다며 반발했다.

백운산 국립공원 지정 추진은 지난 2010년 7월 광양시가 환경부와 국립공원관리공단에 지정 건의를 하면서 출발했다.

관리공단은 광양시 건의에 따라 곧바로 산림 자연환경, 생태자원, 토지현황 등 타당성 연구 용역에 들어갔다.

국립공원 지정은 해당 지자체 의견 수렴과 관계부처 협의 등을 거쳐 국립공원위원회에서 최종 결정된다.

광양시는 2010년 서울대 법인화 이후 백운산이 학술림으로 넘어가는 것을 막고자 국립공원 지정을 건의했다.

국립공원이 되면 토지양도나 매각 시 환경부 동의가 필요해 서울대로의 무상양도는 사실상 어렵게 된다.

또 광양시와 지방의회, 지역 사회단체 등도 국립공원 지정에 대해 열의가 강한 만큼 이번 공청회 결과가 주목되고 있다.

국립공원 대상 면적은 광양 72.3㎢(69.1%), 구례 28.3㎢(27.0%), 순천 4.1㎢(3.9%) 등 모두 104.7㎢다.

국립공원관리공단측은 백운산이 종(種)의 다양성과 면적, 보전상태 등을 따져볼 때 국립공원으로서의 조건을 충분히 갖춘 것으로 보고 있다.

서울대는 해방 이후 동경대 연습림이었던 백운산과 지리산 일부가 포함된 남부 학술림을 그대로 넘겨받았으며 법인화 이후 서울대 재산으로 편입될 가능성이 커지자 광양과 구례 등 전남지역 주민들이 강력히 반발하고 있다.

면적은 백운산의 46%인 110㎢와 지리산 52㎢ 등 모두 162㎢에 달한다.

백운산(白雲山.해발 1,218m)은 광양시 다압, 옥룡, 진상면 등에 걸쳐 있는 산으로 반야봉(般若峰)·노고단(老姑壇)·왕증봉(王甑峰)·도솔봉(兜率峰)등과 함께 소백산맥의 고봉으로 꼽힌다.

전남에서 지리산 노고단 다음으로 높다. 섬진강 하류를 사이에 두고 지리산과 남북으로 마주 보고 있다.

금천,성불,동곡,어치계곡 등 4대 계곡을 품고 있으며 학사대,용대,선유대 등 명소가 많다.

900여종의 다양한 식생이 잘 보존돼 있는 등 자연생태계 보호구역으로 지정돼 있으며 고로쇠 약수가 유명하고 도선국사가 창건했다는 백운사가 자리잡고 있다.

전국 국립공원에는 제1호인 지리산(1967년 지정) 등 20개(총면적 6580㎢)가 있으며 최근에는 무등산이 21번째로 국립공원으로 지정됐다.

연합뉴스

김영옥 서울시의회 보건복지위원장, 저당 인식개선 ‘덜 달달 원정대’ 발대식 참석

서울시의회 보건복지위원회 김영옥 위원장(국민의힘, 광진3)은 지난 29일 서울시청 8층 다목적홀에서 열린 저당 인식개선 프로그램 ‘덜 달달 원정대’ 발대식에 참석, 축사를 통해 아동기 건강습관 형성의 중요성과 덜달달 원정대의 출발과 활동을 격려했다. ‘ㄹ덜 달달 원정대’는 서울시가 개발한 손목닥터 앱의 신규 기능(저당 챌린지 7.16 오픈)과 연계해, 초등학교 1~6학년 아동 100명과 그 가족이 함께 참여하는 실천형 건강증진 프로그램으로 구성됐으며, 당류 과다 섭취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고 건강한 또래문화 조성을 위한 공공보건 캠페인의 일환으로 추진되고 있다. 이날 발대식은 ▲어린이 문화 공연 ▲저당 OX 퀴즈 및 이벤트 ▲‘덜 달달 원정대’ 위촉장 수여, ▲기념 세레머니 등 다양한 체험형 프로그램으로 진행되었으며, 약 300여 명의 아동·가족이 참여하여 저당 인식 확산의 의미를 더했다. 김 위원장은 축사를 통해 “우리 아이들이 당 섭취 줄이기와 같은 건강한 식습관을 어릴 때부터 실천하는 것은 평생 건강을 좌우하는 중요한 시작이다”라며 “서울시의회는 시민 건강권 보장과 아동기 건강 격차 예방을 위한 정책 기반 조성과 지원에 더욱 책임 있게 임하겠다”고
thumbnail - 김영옥 서울시의회 보건복지위원장, 저당 인식개선 ‘덜 달달 원정대’ 발대식 참석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