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참사] 해경, 도착 4시간 지나서야 선장 찾아 나섰다

[세월호 참사] 해경, 도착 4시간 지나서야 선장 찾아 나섰다

입력 2014-05-19 00:00
수정 2014-05-19 04:0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사고 초기 구조 난맥상 입증

해경의 주파수공용통신(TRS) 녹취록이 세월호 침몰 때 선박의 내부 구조를 잘 아는 선장을 뒤늦게 찾아 나서는 등 초기 구조의 난맥상을 입증했다.

18일 김춘진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이 공개한 사고 초기 해경의 교신 녹취록에 따르면 김문홍 목포해양경찰서장은 세월호가 침몰한 지난달 16일 오후 1시 31분에야 이준석(69) 선장의 소재를 파악하라고 지시했다. 그러나 이미 선장·선원 15명이 해경 123정에 가장 먼저 구조돼 육상으로 인계된 지 4시간 정도를 넘긴 뒤였다. 해경은 이후 이씨의 신병을 확보, 같은 날 오후 5시 40분 지휘함인 3009함에 데려와 선내 구조를 들었으나 세월호는 이미 침몰한 뒤여서 도움이 되지 않았다.

해경의 선내 진입 명령도 뒤늦게 이뤄져 승객을 구조할 수 있는 결정적인 순간을 놓친 것으로 드러났다. 세월호 침몰 당시 현장에 처음 도착한 서해해경청 123정은 “경사가 너무 심해 승객이 못 나온다. 밖으로 나온 승객 한 명씩 구조하고 있다”고 상황실에 보고했다. 절박한 상황을 인식한 상황실은 9시 48분쯤 처음으로 123정에 “본 청장과 서해청장 지시사항임. 123 직원들이 안전장구 갖추고 여객선 올라가 승객들이 동요하지 않도록 안정시키기 바람”이라고 명령했다.

그러나 123정은 9시 53분쯤 세월호 좌현이 완전히 침수돼 어렵다고 보고한다. 김 서장은 9시 51분~10시 6분 네 차례에 걸쳐 승객 구조와 퇴선 방송을 지시했으나 지켜지지 않았다. 김 서장은 10시 5분쯤 “그러면 다시 한번 침착하게 방송해서 뛰어내리게끔 유도해. 안에 갇힌 사람들이 웅성웅성하는 상황에서 한 사람만 빠져나오면 다 줄줄이 따라나오니까”라고 지시했다. 그러나 123정은 세월호의 경사 때문에 또 선내에 진입하지 못했다.

구조 헬기도 당초 알려진 것보다 5분여 앞선 오전 9시 25분쯤 현장 도착 사실을 상황실에 알렸고 상황실은 “현재 상태를 보고할 것”을 지시했다. 그러나 헬기는 9시 43분쯤 “6명째 구조해 서거차도로 향한다. 계속 구조하겠다”고 대답하는 등 침몰 중인 배에서의 승객 상태보다는 구조 숫자만 반복했다.

헬기가 공중을 선회하고, 123정이 선장과 선원을 구할 당시 객실 3∼5층은 아직 물에 잠기기 전이었다. 구조대원이 선내에 진입해 승객의 퇴선을 유도했다면 인명 피해는 크게 줄었을 것으로 보인다. 세월호는 오전 10시 31분 선수 일부만 물 위로 남긴 터였다. 해경은 300여명이 갇힌 배가 가라앉을 때까지 무기력하게 지켜보기만 했다.



목포 최치봉 기자 cbchoi@seoul.co.kr
2014-05-19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