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재정지원 제한대학으로 지정되면서 ‘부실대학’의 오명을 얻게된 청주대 구성원들의 김윤배 총장 퇴진 요구가 갈수록 거세지고 있다.
이미지 확대
청주대 발전협의회는 2일 오전 청주대 정문 앞에서 집회를 열고 ”김윤배 총장은 학사 비리, 토지횡령비리, 적립금 과다 축적에 대한 책임을 지고 사퇴하라”고 촉구했다. 청주대 발전협은 교수회와 직원노동조합, 총학생회, 총동문회가 모여 지난 5월 발족한 기구다.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청주대 발전협의회는 2일 오전 청주대 정문 앞에서 집회를 열고 ”김윤배 총장은 학사 비리, 토지횡령비리, 적립금 과다 축적에 대한 책임을 지고 사퇴하라”고 촉구했다. 청주대 발전협은 교수회와 직원노동조합, 총학생회, 총동문회가 모여 지난 5월 발족한 기구다. 연합뉴스
이 대학 교수회와 직원노동조합, 총학생회, 총동문회 등 학교 구성원들이 참여해 발족한 청주대 발전협의회는 2일 김 총장 사퇴를 위한 첫 단체행동에 나섰다.
청주대 발전협은 이날 대학 정문 앞에서 집회를 열고 “김 총장은 학사비리, 토지 횡령비리뿐 아니라 과도한 대학 적립금 조성으로 사회적 지탄을 받고 있다”라며 “학교 발전을 위해 김 총장과 재단이사회가 책임있는 자세를 보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발전협은 “국민고충처리위원회가 김 총장의 석사학위 논문 가운데 70% 이상이 다른 논문을 표절했다는 사실을 밝혀냈고, 최근에 확인된 것보다 더 심각한 표절이 있었던 것으로 추가로 드러났다”며 “석사학위 취득 과정에서 공통과목 학점을 이수하지 않는 등 학교 규정을 위반하기도 했다”고 밝혔다.
발전협은 김 총장의 부친이 학원토지를 횡령한 사실이 교육부와 감사원에 의해 적발됐고, 수백억에 달하는 일부 토지는 소멸 시효를 이유로 반납되지 않고 김 총장 일가에게 상속됐다는 주장도 거듭 제기했다.
이어 “전국 6위에 해당하는 3천억원에 이르는 적립금을 쌓아둔 청주대가 열악한 교육환경을 개선하는 데는 인색한 채 건물 건립과 조경 사업에만 엄청난 돈을 투자하고 있다”며 대학 부실 운영의 책임을 물어 김 총장의 사퇴를 재차 요구했다.
이날 집회에는 교수와 학생, 노조원 등 40여명이 참가해 등교하는 학생들에게 성명서를 배포했다.
청주대는 지난달 말 재정지원 제한대학으로 지정됐고, 대학 측은 이를 수용하겠다고 밝혔다.
재정지원 제한대학으로 지정되면 1년 동안 학교 단위의 정부 재정지원 사업을 신청할 수 없고, 신·편입생의 국가장학금 지급에도 일부 제한이 따르게 된다.
추가적인 정원 감축을 선택하는 대학에 한해서는 1년간의 유예기간을 주지만 청주대는 정원 감축 대신 재정지원 제한대학을 선택, 내부 구성원들의 반발을 사고 있다.
한편, 민주노총 전국대학노동조합 청주대지부는 학교 측의 일방적인 단체협약 해지에 반발, 지난 1일부터 1인 지명 파업을 하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