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강남구는 ‘압구정 로데오 거리의 르네상스’를 열기 위해 올 초부터 주민과 힘을 합쳐 착한임대료 정책 등 상권 활성화 사업을 추진해 결실을 맺고 있다고 20일 밝혔다. 동 주민센터와 건물주, 입점 상인, 지역 주민, 전문가 등 46명으로 구성된 압구정로데오 상권 활성화 추진위원회가 머리를 맞댄 결과다.
우선, 건물주와 관련 전문가들이 주축이 돼 ‘착한 임대료’사업을 추진했다. 추진위원으로 참여한 건물주는 임대료를 낮추는 일에 앞장서서 분위기를 조성하고, 인근 건물주들에게 동참토록 권유해 입점을 원하는 상인들의 부담을 경감시켜 주었다.
관계자는 “착한임대료 사업 추진으로 적게는 20% 많게는 50%의 임대료가 하락되면서 공실로 있던 11개소의 임대가 이루어져 현재 영업 중”이라고 설명했다. 임대기간이 만료되지 않았으나 건물주가 자발적으로 임대료를 낮춘 사례도 발생하고 있다.
또 추진위원회는 젊은층을 겨냥한 다양한 공연과 이벤트로 유동인구 확대에 나서고 있다. 매주 토요일 오후, 새로운 2개 팀이 버스킹 공연을, 저녁엔 신인발굴 윙카 공연이 펼쳐진다.
특히 벼룩시장인 ‘띵굴시장’을 상·하반기 2회 열어 약 2만 여명이 로데오를 찾는 대성황을 이루었다.
이호현 압구정동장은 “로데오상권의 부흥을 위해 패션, 뷰티, 맛집 전문가들이 재능기부로 추진위원회에 참여하는 등 전방위로 활동하고 있다”면서 “앞으로도 상권 활성화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미지 확대
강남구 로데오거리 상인들이 추진한 벼룩시장인 띵굴시장. 강남구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강남구 로데오거리 상인들이 추진한 벼룩시장인 띵굴시장. 강남구 제공
주현진 기자 jhj@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