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북구 제공
지난 13일 서울 성북구 석관동 일대 한 약국 앞에서 주민들이 공적 마스크를 사기 위해 줄을 선 가운데 성북구 의용소방대원이 질서 유지를 돕고 있다.
성북구 제공
성북구 제공
마스크 5부제가 시행된 지 일주일이 지난 16일, 명의가 도용돼 마스크를 못 샀다는 신고가 잇따르고 있다.
마스크 5부제에 따라 약국에서는 월요일 1·6년, 화요일 2·7년, 수요일 3·8년, 목요일 4·9년, 금요일 5·0년으로 출생연도가 끝나는 이들이 마스크를 2장씩 살 수 있다.
약국의 중복구매 확인시스템에 구매 이력이 입력되면, 구매자는 주중에는 더는 못 산다. 주중에 구매 못 하면 토·일요일에 출생 연도에 관계없이 구매할 수 있다.
광주 남부경찰서에 따르면 A씨는 지난 14일 오후 남구 주월동의 한 약국에서 마스크를 사려다 누군가 자신의 명의로 이미 마스크를 샀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조회했더니 무안의 한 약국에서 누군가가 A씨의 주민등록번호로 마스크를 산 것이다. 경찰에 신고한 A씨는 조만간 정식으로 고소장을 제출할 예정이다.
또 다른 B씨도 자신이 이미 마스크를 샀다고 하는 약사의 말을 들었다. B씨의 주민등록번호는 경북의 한 지역에서 사용됐고, B씨는 12일 경찰에 고소장을 냈다.
경찰은 누군가 이들의 주민등록번호를 도용해 마스크를 구매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 수사에 나설 예정이다.
김채현 기자 chki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