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는 지난 5월 20일 임시 개방한 부산 해운대구 석대동 해운대수목원의 누적 관람객이 24만명을 돌파했다고 29일 밝혔다.
해운대수목원은 지난 1987년부터 1993년까지 쓰레기 매립장으로 이용되면서 혐오시설의 대명사로 악명을 떨쳤다. 시는 지난 2009년 5월 산림청의 수목원 타당성 심사를 거쳐 2010년 2월 수목원 조성계획을 수립했다. 2017년 5월 1단계 구역에 대한 공사를 마치고 지난 5월부터 전체 면적 62만 8천275㎡ 가운데 치유의 숲과 주차장 655면 등을 우선 개방했다. 치유의 숲에는 느티나무를 비롯한 634종의 수목 19만 그루를 심었고, 편의시설과 당나귀, 양, 염소 등 초식 동물이 있는 작은 동물원도 만들었다.
부산시는 지난 5월 20일 임시 개방한 부산 해운대구 석대동 해운대수목원의 누적 관람객이 24만명을 돌파했다고 29일 밝혔다. <수목원 전경· 부산시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부산시는 지난 5월 20일 임시 개방한 부산 해운대구 석대동 해운대수목원의 누적 관람객이 24만명을 돌파했다고 29일 밝혔다. <수목원 전경· 부산시 제공>
시는 내년에는 장미원을 확대하고, 부산정원박람회를 개최, 국내외 유명 조경 전문가를 초청하고 작가정원을 꾸미는 등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할 계획이다.
또 수목원의 핵심시설인 온실, 관리사무소, 전시원 등 건축물 실시 설계에 들어가 2023년 착공해 2025년 상반기에 해운대수목원을 완전히 개방할 예정이다.
부산시 관계자는 “수목원이 종류가 다양한 나무와, 생태연못, 장미원 등 20곳의 크고 작은 정원과 초식동물원 등으로 코로나 19에 지친 시민들에게 여유를 주는 휴식 공간으로 자리매김했다”고 말했다.
부산 김정한 기자 jhki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