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측근 7인방 줄소환 ‘속도전’
세월호 실소유주인 유병언(73) 전 세모그룹 회장 일가의 비리를 수사 중인 검찰이 김한식(72) 청해진해운 대표에 이어 다판다(방문판매업) 송국빈(62) 대표를 소환조사하기로 했다. 이른바 ‘핵심 측근 7인방’을 차례대로 불러들이면서 유씨 일가에 대한 포위망을 좁혀 가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검찰 출두하는 청해진해운 대표
세월호 선사인 청해진해운 김한식 대표가 29일 마스크를 쓴 채 직원들의 부축을 받으며 인천 남구 인천지방검찰청에 들어서고 있다. 검찰은 이날 김 대표를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조사했다.

지난달 7일 유럽의 한 선박 매매 사이트에 올라온 세월호 판매 광고.
검찰은 김씨를 상대로 유씨 일가의 서류상 회사(페이퍼컴퍼니)에 컨설팅비를 지급한 배경과 비자금 조성을 도왔는지에 대해 집중 추궁했다. 아울러 유씨 일가가 계열사 경영의 의사 결정 과정에 관여했는지, 세월호 등 선박 빛 사명에 대한 상표권 명목으로 지급한 수수료가 적정한지, 고문료 명목으로 매달 1500만원을 지급한 경위 등도 캐물었다. 청해진해운은 세월호가 한 번 출항할 때마다 유씨 일가에게 상표권 사용료로 100여만원씩 지급했으며, 고문 자격으로 매달 1500만원을 지급한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이 김씨에 이어 두 번째로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하는 송씨는 유씨 일가의 핵심 측근 7인방 중 한 명이다. 30년 넘게 유씨 곁을 지킨 송씨는 계열사 자금 창구 노릇을 했던 세모신협 이사장직을 맡았고, 계열사의 지주회사 격인 아이원아이홀딩스의 상무이사를 지내기도 했다.
검찰은 송씨도 유씨 일가의 비자금 조성에 기여했을 것으로 의심하고 있다. 송씨는 다판다 대표로 있으면서 유씨 일가의 페이퍼컴퍼니에 있지도 않은 컨설팅비 명목으로 수년간 수십억원을 지급하는가 하면 유씨의 사진을 고가에 구입해 회사에 손해를 끼쳤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검찰은 송씨에게 회사 자금의 흐름 등을 집중적으로 캐물을 방침이다. 검찰은 또 이날 유씨의 차남 혁기(42)씨가 대표를 맡고 있는 문진미디어 전직 임원 김모씨 자택과 회계사 사무실 등 4곳에 대해 압수수색을 벌였다. 검찰은 확보한 내부 문건 등을 분석하고 있다. 김씨는 그동안의 수사에서 존재가 드러나지 않은 인물로 문진미디어에서 관리 업무를 담당하면서 유씨 관련 기업의 지배 소유구조를 설계한 인물로 알려졌다.
한편 청해진해운 측이 사고 발생 한 달여 전쯤 세월호를 팔려고 했던 정황이 드러났다. 유럽의 한 선박 매매 사이트에는 지난달 7일 세월호의 건조일과 항해노선 등 자세한 내역이 매물 목록에 올라왔다. 청해진해운이 세월호를 일본의 한 선박회사로부터 수입해 운항을 시작한 지 채 1년이 되지 않은 시점에서 배를 팔려고 한 사실이 드러나면서 선사 측이 이미 배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알았던 것 아니냐는 의혹이 증폭되고 있다.
이성원 기자 lsw1469@seoul.co.kr
홍인기 기자 ikik@seoul.co.kr
[반론보도문] 유병언 전 회장 측은 유 전 회장이 청해진해운의 주식을 소유하지 않았기 때문에 회사의 실소유주가 아니라고 밝혀왔습니다.
2014-04-30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