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엽 10번째 황금장갑은 역사다

이승엽 10번째 황금장갑은 역사다

입력 2015-12-08 23:18
수정 2015-12-09 02:0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2015 KBO 골든글러브 시상식

‘라이언 킹’ 이승엽(39·삼성)이 역대 최다인 10번째 골든글러브를 수상하며 야구 역사를 새로 썼다. 에릭 해커(32·NC), 에릭 테임즈(29·NC), 야마이코 나바로(28·삼성)도 골든글러브를 품에 안으며 역대 시상식 중 가장 많은 외국인 선수가 호명되는 진기록을 세웠다.

이미지 확대
이승엽 연합뉴스
이승엽
연합뉴스


이미지 확대
테임즈 연합뉴스
테임즈
연합뉴스


이미지 확대
골든포토상 받은 유희관 “제 포즈 똑같나요?”
골든포토상 받은 유희관 “제 포즈 똑같나요?” 프로야구 두산 유희관이 8일 서울 서초구 양재동 더케이호텔에서 열린 KBO리그 골든글러브 시상식에서 골든포토상을 수상한 뒤 액자에 있는 사진과 똑같은 포즈를 취하며 점프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승엽은 8일 서울 서초구 더케이호텔에서 열린 ‘2015 KBO 골든글러브 시상식’ 지명타자 부문에서 유효표 358표 중 246표를 받아 최준석(롯데·77표), 이호준(NC·35표)을 제치고 골든글러브 수상의 영광을 안았다. 이로써 이승엽은 통산 10번째로 황금장갑을 받아 자신이 보유했던 역대 최다 수상 기록을 다시 갈아치웠다.

이승엽은 1997년부터 2003년까지 7년 연속 1루수 부문 골든글러브를 품었다. 일본프로야구 무대에 진출했다 돌아온 뒤 2012년, 14년에 이어 올해까지 지명타자 부문에서 세 차례나 황금장갑을 차지했다. 불혹의 나이에도 타율 .332에 26홈런 90타점을 쌓았고 한국 프로야구 최초로 통산 400홈런 고지를 밟은 것이 주효했다.

아울러 이승엽은 최고령 수상자에도 이름을 올렸다. 종전 최고령 수상자는 2013년 지명타자로 황금장갑을 낀 이병규(LG·39세 1개월 15일)였지만 이날 이승엽이 39세 3개월 20일로 늘렸다.

이승엽은 수상 직후 “우리 사회가 많이 힘들다. 특히 40대가 많이 힘든데, 그분들에게 이번 수상이 조금이라도 힘이 됐으면 한다”며 “이제는 욕심나는 기록이 없다. (은퇴하기까지 남은) 2년 동안 팬들에게 봉사하는 마음으로 뛰겠다”고 말했다. 그는 “수상은 전혀 기대하지 않았다. 사실 (최준석, 이호준에 비해) 개인 성적이 많이 떨어지지 않느냐. 사실 400홈런의 임팩트가 컸던 것 같다”며 겸손한 자세를 보였다.

이번 시상식에서는 후보로 오른 외국인 선수 6명 중 절반이 수상해 역대 가장 많은 이방인이 황금장갑을 품에 안았다. 외국인 선수로는 역대 세 번째로 정규리그 최우수선수(MVP)에 선정됐던 테임즈는 이날도 227표를 받아 116표에 그친 박병호를 제쳤다. 1루수 부문에서 외국인 선수가 골든글러브를 받은 것은 테임즈가 처음이다. 한국 프로야구 최초 ‘40홈런-40도루’ 달성의 힘이었다. 투수 부문 수상은 정규리그 ‘다승왕’(19승 5패)을 차지한 해커에게 돌아갔고, 나바로는 외국인으로는 최초로 2루수 부문에서 골든글러브를 수상했다.

한 시즌에 두 명의 외국인 선수가 골든글러브를 받은 건 1999년과 2005년 두 차례뿐이었고 세 명 이상이 동시에 수상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국내 프로야구에서 외국인 선수가 뛰기 시작한 1998년 이후 지난해까지 황금장갑을 받은 외국인 선수는 11명에 불과했지만 올해는 워낙 빼어난 활약을 보인 이방인들이 많아 역대 최다 수상이 가능했다.

한재희 기자 jh@seoul.co.kr
2015-12-09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