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VO, 페퍼저축은행 창단 최종 승인
올해 신인드래프트서 6명 우선 지명권
10년 만의 신생팀, 김연경 영입이 핵심김 “천천히 고민”… 흥국생명은 “불가”

연합뉴스
김연경.
연합뉴스
연합뉴스
여자부 신생팀이 생긴 것은 2011년 IBK기업은행 창단 이후 10년 만이다. 페퍼저축은행의 V리그 가입비와 특별기금은 20억원이다. 연고지는 성남과 광주 중 추가 검토를 통해 최종 결정할 계획이다.
페퍼저축은행은 28일 열리는 외국인선수 드래프트에서 1순위 지명권을 행사하게 된다. 이와 함께 2021년 신인 드래프트에서는 6명을 우선 지명하고 2022년에는 선수 1명 우선 지명권과 추가로 2021~22시즌과 동일한 확률로 신인을 지명할 수 있는 권리를 갖게 된다.
무엇보다 관심은 2020~21시즌 V리그 최우수선수(MVP)인 김연경이 흥국생명과 1년 계약이 끝나 신생팀인 페퍼저축은행으로 갈 수 있느냐다. 김연경은 “시간이 많기 때문에 천천히 고민하면서 거취를 결정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연경은 해외 리그 재진출과 국내 잔류를 놓고 고심 중이다. 페퍼저축은행은 ‘배구 여제’를 붙잡을 수 있으면 단기간 내 브랜드 효과를 낼 수 있어 영입에 적극적인 것으로 전해졌다.
반면 흥국생명은 김연경의 해외진출은 막을 수 없지만 국내 팀 이적은 있을 수 없다는 입장이다. 프로배구는 6시즌을 채워야 자유계약선수(FA)자격을 획득하는 데 김연경은 올 시즌 포함 흥국생명에서 5시즌만 뛴 상태다. 1년을 더 흥국생명에서 뛰어야 FA자격이 생긴다는 것이다. 구단으로서는 김연경의 상품성과 TV시청률, 여기에 압도적인 기량 등을 쉽게 포기 할 수 없다는 얘기다. 다만 김연경이 신생구단으로의 이적을 먼저 원한다면 다른 국면으로 접어들 수도 있다. 배구계 안팎에서는 김연경과 가까운 인사가 페퍼저축은행의 초대 사령탑에 선임될 공산이 크다는 얘기도 나온다. 벌써부터 김형실 전 KT&G(현 KGC인삼공사) 감독, 이정철 전 기업은행 감독(현 SBS스포츠 배구해설위원) 등이 거론된다.
문경근 기자 mk5227@seoul.co.kr
2021-04-21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