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정보기술(IT) 업체들이 일제히 TV 사업에 진출하고 있다.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삼성전자와 LG전자 등 하드웨어 제조업체만의 영역이었지만, 이제는 소프트웨어, 포털 사업자들까지 잇따라 셋톱박스 등을 내놓으며 시장 참가를 선언하고 있다.
IT 산업의 새 ‘블루오션’(신시장)인 콘텐츠 사업을 강화하고, 이를 토대로 애플과 같은 독자적인 생태계를 구축하겠다는 전략이다. 이에 따라 지상파, 케이블, 인터넷프로토콜(IP)TV 등 기존 방식의 TV들도 몇 년 안에 형태가 바뀔 수도 있다는 전망이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다음커뮤니케이션은 올 상반기 안에 안드로이드 운영체제(OS) 기반의 스마트TV 셋톱박스를 통해 ‘다음TV’ 서비스를 선보일 예정이다. 지상파 방송과 주문형비디오(VOD) 콘텐츠, 안드로이드 애플리케이션(응용프로그램·이하 앱) 등을 서비스할 계획이다.
●다음 상반기·인텔 연내 스마트TV 시장 진출
이미 다음은 지난해 3월 영상·음향기기 제조업체 가온미디어, 전자부품업체 크루셜텍 등과 함께 ‘다음TV’를 공동 설립해 TV 사업을 준비해왔다. 다음 관계자는 “스마트TV가 주력이 되고 있는 시장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하나의 콘텐츠를 다양한 기기에서 즐길 수 있는 ‘N스크린’ 전략에 스마트TV를 추가했다.”고 설명했다.
앞서 ‘네이트’를 제공하는 SK커뮤니케이션즈도 지난해 11월부터 LG전자의 스마트TV를 기반으로 하는 ‘네이트TV’ 앱 서비스를 시작했고, ‘파란’을 운영하는 KTH도 2010년부터 콘텐츠 유통 플랫폼 ‘플레이(Playy) TV’를 내놓고 콘텐츠 사업에 나서고 있다. 이는 국내에서만 일어나는 현상은 아니다. 세계 최대 반도체업체인 인텔도 인터넷 기반의 TV 서비스를 개발해 올해 안에 글로벌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할 계획이다. 미국 내 각 가정에 인텔 칩이 내장된 셋톱박스를 판매해 ‘가상의 케이블 채널 운영사’를 만들겠다는 목표다. 사업 성공의 핵심이 콘텐츠 확보에 달려있는 만큼, 폴 오텔리니 인텔 최고경영자(CEO)가 직접 나서 폭스TV, 디즈니 등 콘텐츠 사업자들을 설득하고 있다.
세계 모바일 플랫폼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애플과 구글도 각각 ‘애플TV’와 ‘구글TV’를 론칭해 ‘커넥티드 TV’ 영역을 확대해 가고 있다. 이들 대부분이 기존 인터넷이나 케이블TV 망에 셋톱박스를 연결해 독자적인 콘텐츠를 볼 수 있게 하는 방식이다.
●인텔 “칩 내장 셋톱박스로 가상 케이블채널화”
이처럼 IT 업계가 너 나 할 것 없이 셋톱박스를 통해 TV 사업에 나서는 것은 TV용 콘텐츠야말로 자신들의 독자적인 생태계를 구축하는 데 가장 강력한 ‘킬러 제품’이 되기 때문이다.
커넥티드TV의 경우 지상파나 케이블TV와 달리 제휴를 맺은 업체들의 콘텐츠만 보여줄 수 있다. 때문에 인기 있는 TV 콘텐츠를 다수 확보한 뒤 N스크린을 통해 모바일 기기에서도 볼 수 있게 해 주면 그만큼 자사의 콘텐츠 서비스를 이용하는 소비자들을 장시간 붙잡아둘 수 있다. TV용 셋톱박스는 이러한 생태계 구축의 첫 단추라 할 수 있다.
●다양한 콘텐츠 확보로 독자적 생존 노려
업계 관계자는 “셋톱박스 형식의 인터넷 TV 서비스의 경우 기존 TV에 별도의 장치를 달아야 하는 등 번거로움이 많아 아직까진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면서 “때문에 시간이 지나면 다른 IT 업체들도 완제품 형태의 TV로 출시하려는 애플이나 구글의 사례를 벤치마킹하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류지영기자 superryu@seoul.co.kr
IT 산업의 새 ‘블루오션’(신시장)인 콘텐츠 사업을 강화하고, 이를 토대로 애플과 같은 독자적인 생태계를 구축하겠다는 전략이다. 이에 따라 지상파, 케이블, 인터넷프로토콜(IP)TV 등 기존 방식의 TV들도 몇 년 안에 형태가 바뀔 수도 있다는 전망이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다음커뮤니케이션은 올 상반기 안에 안드로이드 운영체제(OS) 기반의 스마트TV 셋톱박스를 통해 ‘다음TV’ 서비스를 선보일 예정이다. 지상파 방송과 주문형비디오(VOD) 콘텐츠, 안드로이드 애플리케이션(응용프로그램·이하 앱) 등을 서비스할 계획이다.
●다음 상반기·인텔 연내 스마트TV 시장 진출
이미 다음은 지난해 3월 영상·음향기기 제조업체 가온미디어, 전자부품업체 크루셜텍 등과 함께 ‘다음TV’를 공동 설립해 TV 사업을 준비해왔다. 다음 관계자는 “스마트TV가 주력이 되고 있는 시장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하나의 콘텐츠를 다양한 기기에서 즐길 수 있는 ‘N스크린’ 전략에 스마트TV를 추가했다.”고 설명했다.
앞서 ‘네이트’를 제공하는 SK커뮤니케이션즈도 지난해 11월부터 LG전자의 스마트TV를 기반으로 하는 ‘네이트TV’ 앱 서비스를 시작했고, ‘파란’을 운영하는 KTH도 2010년부터 콘텐츠 유통 플랫폼 ‘플레이(Playy) TV’를 내놓고 콘텐츠 사업에 나서고 있다. 이는 국내에서만 일어나는 현상은 아니다. 세계 최대 반도체업체인 인텔도 인터넷 기반의 TV 서비스를 개발해 올해 안에 글로벌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할 계획이다. 미국 내 각 가정에 인텔 칩이 내장된 셋톱박스를 판매해 ‘가상의 케이블 채널 운영사’를 만들겠다는 목표다. 사업 성공의 핵심이 콘텐츠 확보에 달려있는 만큼, 폴 오텔리니 인텔 최고경영자(CEO)가 직접 나서 폭스TV, 디즈니 등 콘텐츠 사업자들을 설득하고 있다.
세계 모바일 플랫폼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애플과 구글도 각각 ‘애플TV’와 ‘구글TV’를 론칭해 ‘커넥티드 TV’ 영역을 확대해 가고 있다. 이들 대부분이 기존 인터넷이나 케이블TV 망에 셋톱박스를 연결해 독자적인 콘텐츠를 볼 수 있게 하는 방식이다.
●인텔 “칩 내장 셋톱박스로 가상 케이블채널화”
이처럼 IT 업계가 너 나 할 것 없이 셋톱박스를 통해 TV 사업에 나서는 것은 TV용 콘텐츠야말로 자신들의 독자적인 생태계를 구축하는 데 가장 강력한 ‘킬러 제품’이 되기 때문이다.
커넥티드TV의 경우 지상파나 케이블TV와 달리 제휴를 맺은 업체들의 콘텐츠만 보여줄 수 있다. 때문에 인기 있는 TV 콘텐츠를 다수 확보한 뒤 N스크린을 통해 모바일 기기에서도 볼 수 있게 해 주면 그만큼 자사의 콘텐츠 서비스를 이용하는 소비자들을 장시간 붙잡아둘 수 있다. TV용 셋톱박스는 이러한 생태계 구축의 첫 단추라 할 수 있다.
●다양한 콘텐츠 확보로 독자적 생존 노려
업계 관계자는 “셋톱박스 형식의 인터넷 TV 서비스의 경우 기존 TV에 별도의 장치를 달아야 하는 등 번거로움이 많아 아직까진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면서 “때문에 시간이 지나면 다른 IT 업체들도 완제품 형태의 TV로 출시하려는 애플이나 구글의 사례를 벤치마킹하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류지영기자 superryu@seoul.co.kr
2012-03-19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