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월부터 시작된 저축은행 구조조정으로 영업정지된 저축은행은 모두 20개이다.
지난해 1월초 삼화저축은행을 시작으로 이어 부산과 대전,부산2,중앙부산,전주,보해,도민,경은 저축은행이 줄줄이 문을 닫았다.
이어 지난해 7월부터 7주에 걸친 85개 저축은행에 대한 경영진단에서 대영과 프라임,파랑새,제일,제일2,토마토 등 7개사가 영업정지됐다.
또 6일 4개 저축은행이 영업정지되면서 모두 20개 저축은행이 문을 닫았다.
그러면 앞으로 더 이상 구조조정은 없는 것일까?
이에대해 금융당국은 더 이상 없을 것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금융당국은 지난해 9월 적기시정조치가 유예된 곳가운데 이번에 영업정지를 피한 곳 두 곳의 경우 한 곳은 정상화됐고 한 곳은 외자유치하면 정상화될 것이라고 밝혔다.
또 금융감독원 주재성부원장은 솔로몬과 한국 계열은 예보가 대주주가 돼 BIS비율도 영업정지된 곳보다 양호하게 됐고 뱅크런이 없으면 정상 영업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주부원장은 이어 이번 구조조정에서 모저축은행 계열사가운데 한 곳이 경영평가를 할 필요가 있으나 자본증자나 계열사 매각하면 괜찮을 것이라고 말해 추가로 구조조정이 있을 수도 있음을 시사했다.
특히 지난주 금융권 일각에서는 대형 저축은행 2~3곳과 자회사 2~3곳, 수도권과 지방 소재 중소형 저축은행 3~4곳 등 최대 7~10곳 정도의 대규모 퇴출 전망이 나오기도 해 앞으로 추가 저축은행 구조조정이 있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다만 앞으로는 저축은행 퇴출이 기존의 ‘일괄 퇴출’ 방식으로 진행되지는 않을 듯 하다.
김석동 금융위원장은 최근 한국개발연구원(KDI)이 발행하는 경제정보지를 통해 “이제는 일괄 정리는 없다”면서 “시장에 의해서 상시적으로, 즉 자기자본비율(BIS)이 일정 수준 이하로 낮아지면 시장에서 퇴출된다”고 밝혔다.
금융당국도 “앞으로 복수의 저축은행이 한꺼번에 영업정지 당하는 사태는 없다”면서도 “저축은행간 인수합병(M&A), 자기자본비율(BIS) 점검 등 구조조정 체계에 맡기겠다”고 밝혔다.
방식을 ‘일괄 퇴출’에서 ‘상시 퇴출’로 전환해 부실은행으로 판정되면 예고없이 퇴출시키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추가적인 퇴출이 언제든지 나올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저축은행 부실의 주범으로 꼽히는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대출이 해결되지 않고 있는 상황이어서 상황을 낙관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정상적인 수준의 BIS비율을 갖추고 있는 저축은행이라도 숨겨진 부실이 발생할 경우 어떻게 될지 장담할 수 없기 때문이다.
노컷뉴스
※위 기사는 기사콘텐츠 교류 제휴매체인 노컷뉴스의 기사입니다. 이 기사에 관한 모든 법적인 권한과 책임은 노컷뉴스에 있습니다.
지난해 1월초 삼화저축은행을 시작으로 이어 부산과 대전,부산2,중앙부산,전주,보해,도민,경은 저축은행이 줄줄이 문을 닫았다.
또 6일 4개 저축은행이 영업정지되면서 모두 20개 저축은행이 문을 닫았다.
그러면 앞으로 더 이상 구조조정은 없는 것일까?
이에대해 금융당국은 더 이상 없을 것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금융당국은 지난해 9월 적기시정조치가 유예된 곳가운데 이번에 영업정지를 피한 곳 두 곳의 경우 한 곳은 정상화됐고 한 곳은 외자유치하면 정상화될 것이라고 밝혔다.
또 금융감독원 주재성부원장은 솔로몬과 한국 계열은 예보가 대주주가 돼 BIS비율도 영업정지된 곳보다 양호하게 됐고 뱅크런이 없으면 정상 영업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주부원장은 이어 이번 구조조정에서 모저축은행 계열사가운데 한 곳이 경영평가를 할 필요가 있으나 자본증자나 계열사 매각하면 괜찮을 것이라고 말해 추가로 구조조정이 있을 수도 있음을 시사했다.
특히 지난주 금융권 일각에서는 대형 저축은행 2~3곳과 자회사 2~3곳, 수도권과 지방 소재 중소형 저축은행 3~4곳 등 최대 7~10곳 정도의 대규모 퇴출 전망이 나오기도 해 앞으로 추가 저축은행 구조조정이 있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다만 앞으로는 저축은행 퇴출이 기존의 ‘일괄 퇴출’ 방식으로 진행되지는 않을 듯 하다.
김석동 금융위원장은 최근 한국개발연구원(KDI)이 발행하는 경제정보지를 통해 “이제는 일괄 정리는 없다”면서 “시장에 의해서 상시적으로, 즉 자기자본비율(BIS)이 일정 수준 이하로 낮아지면 시장에서 퇴출된다”고 밝혔다.
금융당국도 “앞으로 복수의 저축은행이 한꺼번에 영업정지 당하는 사태는 없다”면서도 “저축은행간 인수합병(M&A), 자기자본비율(BIS) 점검 등 구조조정 체계에 맡기겠다”고 밝혔다.
방식을 ‘일괄 퇴출’에서 ‘상시 퇴출’로 전환해 부실은행으로 판정되면 예고없이 퇴출시키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추가적인 퇴출이 언제든지 나올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저축은행 부실의 주범으로 꼽히는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대출이 해결되지 않고 있는 상황이어서 상황을 낙관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정상적인 수준의 BIS비율을 갖추고 있는 저축은행이라도 숨겨진 부실이 발생할 경우 어떻게 될지 장담할 수 없기 때문이다.
노컷뉴스
※위 기사는 기사콘텐츠 교류 제휴매체인 노컷뉴스의 기사입니다. 이 기사에 관한 모든 법적인 권한과 책임은 노컷뉴스에 있습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