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검증 회오리 속 해수부만 ‘무풍지대’

인사검증 회오리 속 해수부만 ‘무풍지대’

입력 2013-02-24 00:00
수정 2013-02-24 08:4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윤진숙 내정자…병역·재산·증여·국적문제 ‘NO’

새 정부 출범을 앞두고 유례없이 혹독한 인사검증 ‘태풍’이 부는 가운데 유일하게 ‘무풍지대’에 놓인 부처가 하나 있다.

5년만에 부활하는 해양수산부가 주인공이다.

24일 국토해양부 등에 따르면 윤진숙 해수부 장관 내정자는 지난 22일까지 해수부에 포함될 국토부와 농림수산식품부의 각 실국으로부터 주요 현안에 대한 업무보고를 받았다.

해양정책, 수산, 물류·항만의 순으로 업무보고를 끝낸 윤 내정자는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해양연구본부장 출신답게 풍부한 지식과 날카로운 질문으로 보고자들이 진땀을 흘리게 만들었다는 후문이다.

국토부의 한 관계자는 “연구원 출신답게 매우 분석적이고 국민의 시각에서 실상을 꿰뚫어 보고 있다”며 “(전공이 아닌) 해운이나 항만 쪽 지식도 풍부해 업무 전문성에 대해서는 누구도 이의를 제기하지 못할 것”이라고 밝혔다.

사실 윤 내정자가 정치권의 검증 공세에서 비켜나 있는 것은 전문성을 갖춘 인사일뿐 아니라 고위 공직자로서 약점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박근혜 정부의 초대 국무총리와 장관 내정자들에 대한 공격은 ▲병역기피 ▲재산 ▲전관예우 ▲불법증여 ▲부동산 ▲국적 등에 관한 의혹에 집중돼 있지만 윤 내정자에게는 해당사항이 전혀 없다.

미혼 여성인 윤 내정자는 아예 병역 의무의 대상이 아니며 평생 대학 강사와 KMI 연구원으로 검소하게 산 덕분에 재산 증식 문제에서도 자유롭다.

고위 공직에 오른 것이 처음이어서 전관예우를 받은 적이 없고 불법증여할 재산이나 물려줄 자녀도 없다. 본인 소유의 부동산도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인사청문회 준비팀 관계자는 “평생 연구자로 강직하게 살아와 모은 재산이 얼마 안되고 가족 문제도 없어 청문회에 대해서는 전혀 걱정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KMI 연구위원 시절인 2006년 출장비 31만800원을 허위 청구했다는 의혹이 나왔지만 액수가 작아 결격사유로 작용하지는 않을 전망이다. 윤 내정자는 이에 대해 “비록 과거의 잘못된 관행이지만 사과한다”며 반성의 뜻을 전했다.

다만 산하기관 본부장 출신이라는 점에서 부처 장악력, 다른 부처와의 협력관계에서 어려움이 있지 않겠느냐는 지적도 일각에서 나온다.

그러나 윤 내정자를 곁에서 지켜본 준비팀에서는 기우에 불과하다는 반응이다.

이 관계자는 “업무장악력에 대한 문제제기가 있을 수 있지만 전문성으로 충분히 장악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며 “공무원 사회는 충성심이 강한 조직이라 일단 장관으로 임명되면 아무런 문제가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자신했다.

정부조직 개편을 둘러싼 여야 대치로 신설 부처인 해수부 장관 내정자 등에 대한 인사청문회는 다음달 8일 이후에 열릴 전망이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