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 주체인 가계가 미래의 소비를 위해 현재의 소비를 줄이는 경향이 심화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은행 조사국 배병호 모형분석팀 차장 등 3명은 10일 ‘최근 소비 부진과 가계의 시간선호 변화’ 보고서에서 “가계의 미래 소비에 대한 시간 선호가 2000년대 이후 시간할인인자를 중심으로 꾸준히 상승하면서 최근 소비 부진의 일부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가계의 시점간 소비균형식(오일러 방정식) 추정에서 시간할인인자는 1990∼1999년 0.982에서 2000∼2013년 0.991로 높아졌다.
시간할인인자는 미래소비를 통해 가계가 얻게 될 기대효용에 대한 가중치로, 할인인자(0∼1 사이)가 클수록 가계는 미래를 위해 현재 소비를 줄이려는 경향이 커진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보고서는 시간할인인자가 2004년이후 가파르게 상승했으며 특히 2004년 신용카드 사태 때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는 시간할인인자의 변화가 소비, 생산, 고용을 감소시키면서 거시경제에 충격을 줬다고 설명했다.
보고서는 현재와 미래의 소비수준 차이에 대한 가계의 기피 정도를 보여주는 상대적 위험 기피도도 1990년대 0.005에서 2000년 이후는 0.252로 높아진 것으로 분석했다.
배 차장은 “이런 시간선호 변화는 인구고령화에 따른 노후 부담 증가, 고용 및 소득 불안, 경제의 불확실성 증대 등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보고서는 이와 관련해 사회안전망 강화, 고용안정성 확보 등 미래소득에 대한 불확실성을 낮추고 경제주체의 기대심리를 개선시키는 정책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한국은행 조사국 배병호 모형분석팀 차장 등 3명은 10일 ‘최근 소비 부진과 가계의 시간선호 변화’ 보고서에서 “가계의 미래 소비에 대한 시간 선호가 2000년대 이후 시간할인인자를 중심으로 꾸준히 상승하면서 최근 소비 부진의 일부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가계의 시점간 소비균형식(오일러 방정식) 추정에서 시간할인인자는 1990∼1999년 0.982에서 2000∼2013년 0.991로 높아졌다.
시간할인인자는 미래소비를 통해 가계가 얻게 될 기대효용에 대한 가중치로, 할인인자(0∼1 사이)가 클수록 가계는 미래를 위해 현재 소비를 줄이려는 경향이 커진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보고서는 시간할인인자가 2004년이후 가파르게 상승했으며 특히 2004년 신용카드 사태 때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는 시간할인인자의 변화가 소비, 생산, 고용을 감소시키면서 거시경제에 충격을 줬다고 설명했다.
보고서는 현재와 미래의 소비수준 차이에 대한 가계의 기피 정도를 보여주는 상대적 위험 기피도도 1990년대 0.005에서 2000년 이후는 0.252로 높아진 것으로 분석했다.
배 차장은 “이런 시간선호 변화는 인구고령화에 따른 노후 부담 증가, 고용 및 소득 불안, 경제의 불확실성 증대 등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보고서는 이와 관련해 사회안전망 강화, 고용안정성 확보 등 미래소득에 대한 불확실성을 낮추고 경제주체의 기대심리를 개선시키는 정책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