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주·위스키 알코올 함량 큰 차 잔 크기 등 통계 자체가 잘못”
폭탄주를 마시고 회식이 잦은 한국인의 음주량은 얼마나 될까. 얼마 전 세계 최고의 주당은 한국인이라는 외신 보도가 인터넷 포털사이트를 뜨겁게 달궜다. 미국의 인터넷 매체 쿼츠는 지난 2일 시장조사기관 유로모니터를 인용해 한국인은 일주일에 평균 13.7잔의 독한 술을 마신다고 보도했다.하지만 국내 주류업계는 “통계 자체가 잘못된 오보”라며 발끈했다. 한 주류업체는 해당 기사를 인용한 국내 신문사 기자들에게 일일이 전화를 돌려 해명하기도 했다. 10일 주류업계에 따르면 유로모니터는 맥주, 와인, 증류주 등 주종에 따른 국가별 음주량을 조사했지만 쿼츠는 증류주 소비량만 따로 떼 인용했다. 그것도 일주일에 평균적으로 마신 술의 잔 수로 음주량을 측정했다.
증류주는 소주, 위스키, 보드카 등에 국한되기 때문에 대중적인 주류인 맥주나 과실주 등의 소비량과 비교할 수 없는 한계가 따른다. 같은 증류주여도 알코올 함량은 제각각이다. 소주는 알코올 도수가 20도이며 위스키는 40도 이상이다. 보드카 중에는 70도가 넘는 독주도 있다. 20도짜리 소주는 알코올 농도 20%짜리 소주를 의미한다. 이 소주의 용량이 100㎖라면 20㎖가 알코올이고 80㎖는 물이다. 술을 마시는 잔의 크기도 다르다. 소주잔은 위스키나 데킬라잔보다 작은 편이다.
음주량을 정확히 측정하려면 주종의 알코올 함량을 평균화한 뒤 섭취한 순수 알코올의 양을 따지는 게 합리적이다. 해마다 건강보건지표(헬스데이터)를 발표하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34개 회원국으로부터 ‘15세 이상 인구의 1인당 연간 주류 소비량’ 자료를 수집한다.
이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연 주류 소비량은 8.9ℓ로 OECD 평균(9.4ℓ)에 못 미쳤다. 1990년과 비교하면 2.2% 감소했다. 식사에 와인이 빠지지 않는 프랑스의 주류 소비량이 12.6ℓ로 OECD 국가 중 1위였다. 맥주를 물처럼 마시는 독일(11.7ℓ)과 영국(10.0ℓ)이 뒤를 이었다.
오달란 기자 dallan@seoul.co.kr
2014-02-11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