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생명 임직원으로 구성된 ‘해피 튜터 봉사단’이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자신의 미래를 직접 설계해 보는 경제교육을 실시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한화생명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한화생명 임직원으로 구성된 ‘해피 튜터 봉사단’이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자신의 미래를 직접 설계해 보는 경제교육을 실시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한화생명 제공
한화생명 직원이라면 누구나 ‘1% 룰’을 지켜야 한다. 연간 근무시간의 1%에 해당하는 20시간가량은 반드시 자원봉사 활동을 해야 한다. 신입사원 때부터 봉사 활동을 직접 기획하고 참여하는 교육을 받으면서 자연스럽게 봉사를 시작하게 된다. 입사와 동시에 2만 5000여명 규모의 한화생명 봉사단의 일원으로 활동하게 되는 셈이다. 전국 153개팀으로 구성돼 있는 한화생명 봉사단은 일회성 행사가 아닌 소외계층에게 직접 다가가는 활동을 실행하고 있다. 장애인, 노인, 보육원 등 지역사회의 소외된 단체와 일대일로 자매결연을 하고 한 달에 한 번 이상 꾸준히 활동한다. 복지시설 환경정리는 물론 장애인 사회적응 훈련과 어린이 문화체험 행사, 노인 치료 프로그램 보조 등 이들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 행사를 진행한다. 서울지역 초등학교 1~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경제교육을 실시하는 ‘해피 튜터 봉사단’, 한 달에 한 번 서울시내 아동복지시설을 방문해 엄마의 손길로 아이들을 돌보는 ‘맘스케어 봉사단’의 활동이 눈에 띈다.
나눔의 정신을 실천하기 위한 사회공헌기금 마련에도 적극적이다. 전 직원은 매월 급여의 일정 부분을 ‘사랑모아기금’으로 마련하고 있다. 2004년부터 지난해 말까지 모인 사랑모아기금은 총 97억 4018만원으로 전액이 지역의 불우한 이웃을 돕는 데 쓰이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