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통신사들이 예상대로 이전보다 악화된 1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불법 보조금 경쟁으로 지출된 마케팅 비용 증가라는 큰 원인에 더해 통신서비스 장애, 유선 매출 감소, 영업정지 등도 실적 악화의 이유로 분석된다.
30일 이동통신업계에 따르면 SK텔레콤이 전날 공시한 1분기 영업이익은 2천524억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37.6% 감소했다. 매출은 4조2천19억원으로 3.4% 증가했으나 순이익은 2천673억원으로 22.7% 감소했다.
SK텔레콤이 밝힌 실적 부진의 주요 원인은 일시적인 마케팅 비용 증가다. SK텔레콤은 1분기 마케팅 비용으로만 1조1천억원을 집행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에 쓴 비용보다 21.4% 많다.
올해 초 이통 3사는 소위 ‘보조금 대란’이라고 불릴 정도로 치열한 경쟁을 벌였다. 이러한 경쟁은 결국 보조금 출혈 경쟁으로 전개되며 마케팅 비용 상승으로 이어졌다.
하루 앞서 실적을 발표한 LG유플러스도 마찬가지다.
LG유플러스의 1분기 매출은 2조7천804억원으로 2.8% 줄어드는데 그쳤으나 영업이익은 8.1% 감소한 1천132억원, 순이익은 63.9% 급감한 268억원을 각각 기록했다.
이 회사도 같은 이유로 1분기 무선 마케팅 비용이 22.6% 증가한 5천511억원에 달했다.
마지막으로 실적을 발표한 KT는 당기순이익이 적자 전환하며 409억원의 순손실을 냈다. 영업이익도 1천520억원으로 58.6% 감소했다.
KT도 마찬가지로 실적 부진의 원인을 마케팅비 증가에서 찾았다. 1분기 집행된 마케팅 비용은 7천752억원으로 작년보다 11.1% 늘어났다.
이런 마케팅 비용 증가에 더불어 회사별 악재도 실적 악화에 기여했다는 분석이다.
SK텔레콤은 지난달 통신서비스 장애로 발생한 보상비용이 1분기 실적에 반영됐다. 업계서는 보상금을 적게는 300억원에서 많게는 1천200억원까지 예상하고 있다.
KT는 주력사업인 유선부문에서의 실적 감소 추세가 계속되고 있다. 유선전화 가입자와 통화량 감소 여파로 1분기 유선분야 매출은 6.7% 감소했다. KT의 유선전화 수익은 2010년 이후 연간 4천억원씩 줄어드는 실정이다.
또 이통 3사 모두 불법 보조금 지급으로 장기간 영업정지 처분을 받으면서 무선단말 판매량 등이 감소했다.
이통사들은 그러나 올 하반기부터 실적이 개선될 것으로 전망했다. 정부의 강력한 시장 안정화 의지 등에 힘입어 최근 이통시장이 안정을 찾고 있다는 관측에서다.
SK텔레콤 황수철 재무관리실장은 전날 콘퍼런스콜에서 “2분기 이후에도 경쟁사의 게릴라성 마케팅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지만 정부의 시장 안정화 의지, 경쟁사들의 재무적 한계 등을 고려할 때 보조금 경쟁으로 시장을 혼탁하게 만들기는 어렵다고 본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30일 이동통신업계에 따르면 SK텔레콤이 전날 공시한 1분기 영업이익은 2천524억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37.6% 감소했다. 매출은 4조2천19억원으로 3.4% 증가했으나 순이익은 2천673억원으로 22.7% 감소했다.
SK텔레콤이 밝힌 실적 부진의 주요 원인은 일시적인 마케팅 비용 증가다. SK텔레콤은 1분기 마케팅 비용으로만 1조1천억원을 집행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에 쓴 비용보다 21.4% 많다.
올해 초 이통 3사는 소위 ‘보조금 대란’이라고 불릴 정도로 치열한 경쟁을 벌였다. 이러한 경쟁은 결국 보조금 출혈 경쟁으로 전개되며 마케팅 비용 상승으로 이어졌다.
하루 앞서 실적을 발표한 LG유플러스도 마찬가지다.
LG유플러스의 1분기 매출은 2조7천804억원으로 2.8% 줄어드는데 그쳤으나 영업이익은 8.1% 감소한 1천132억원, 순이익은 63.9% 급감한 268억원을 각각 기록했다.
이 회사도 같은 이유로 1분기 무선 마케팅 비용이 22.6% 증가한 5천511억원에 달했다.
마지막으로 실적을 발표한 KT는 당기순이익이 적자 전환하며 409억원의 순손실을 냈다. 영업이익도 1천520억원으로 58.6% 감소했다.
KT도 마찬가지로 실적 부진의 원인을 마케팅비 증가에서 찾았다. 1분기 집행된 마케팅 비용은 7천752억원으로 작년보다 11.1% 늘어났다.
이런 마케팅 비용 증가에 더불어 회사별 악재도 실적 악화에 기여했다는 분석이다.
SK텔레콤은 지난달 통신서비스 장애로 발생한 보상비용이 1분기 실적에 반영됐다. 업계서는 보상금을 적게는 300억원에서 많게는 1천200억원까지 예상하고 있다.
KT는 주력사업인 유선부문에서의 실적 감소 추세가 계속되고 있다. 유선전화 가입자와 통화량 감소 여파로 1분기 유선분야 매출은 6.7% 감소했다. KT의 유선전화 수익은 2010년 이후 연간 4천억원씩 줄어드는 실정이다.
또 이통 3사 모두 불법 보조금 지급으로 장기간 영업정지 처분을 받으면서 무선단말 판매량 등이 감소했다.
이통사들은 그러나 올 하반기부터 실적이 개선될 것으로 전망했다. 정부의 강력한 시장 안정화 의지 등에 힘입어 최근 이통시장이 안정을 찾고 있다는 관측에서다.
SK텔레콤 황수철 재무관리실장은 전날 콘퍼런스콜에서 “2분기 이후에도 경쟁사의 게릴라성 마케팅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지만 정부의 시장 안정화 의지, 경쟁사들의 재무적 한계 등을 고려할 때 보조금 경쟁으로 시장을 혼탁하게 만들기는 어렵다고 본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