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8년새 10만 유입 → 소비 늘자 상권 번성 → 대학도 2곳 유치
‘파주는 경제다.’10일 자유로 당동 나들목을 빠져 잘 닦인 ‘LG로’(5.95㎞)를 탔다. 얼마 지나지 않아 오른편 시야로 LG디스플레이 공장 외벽에 붙은 커다란 문구가 눈에 들어왔다. 이 문구는 경기 파주시 월롱면 덕은리에 있는 51만여평, 상암동 월드컵경기장 28배 규모로 자리 잡은 LG디스플레이 파주 공장에 대한 파주시의 애정을 대변한다. 디스플레이 공장 복합 단지는 지난 8년간 대표적인 낙후 지역이었던 파주를 몰라보게 바꿔 놓았다.

LG디스플레이 제공
대표적인 낙후 지역이었던 경기 파주가 LG디스플레이 공장과 함께 경제도시로 거듭나고 있다. 파주 월롱면 덕은리에 위치한 51만평의 LG디스플레이 공장 전경. 이곳은 8년 전만 해도 허허벌판에 가까웠다.
LG디스플레이 제공
LG디스플레이 제공

LG디스플레이 제공
공장 근처에 위치한 기숙사 앞에는 일을 끝마치고 서울과 일산 등으로 나가려는 LG디스플레이 직원을 태우기 위해 택시 10여대가 서 있다.
LG디스플레이 제공
LG디스플레이 제공
인구 유입이 늘다 보니 자연스레 공장 주변에는 원룸을 비롯해 식당, 유흥시설 등 상권이 조성되기 시작했다. 파급 효과는 인근 지역으로 퍼져 나갔다. 생산과 소비가 늘다 보니 시가 거둬들이는 세수가 늘어났다. 실제로 지난해 파주시가 거둔 세금은 2257억원이다. 2006년 1095억원에 비하면 두 배나 늘었다. 지역내총생산(GRDP)도 2006년 2240만원에서 2663만원으로 증가했다. 파주시 집계에 따르면 최근 5년간은 17% 성장하며 도내 성장률 1위를 차지했다. 화성이 15%, 평택이 14.2% 수준이다. 최근 3년간 취업자 수 증가세도 5.4%로 경기도 평균(1.5%)을 큰 차이로 뛰어넘었다. 과거 30~40여채 농가와 묘지들로 휑했던 월롱면, 북한과의 직선거리가 16㎞밖에 되지 않는 군사도시 파주가 LG디스플레이와 함께 대반전을 이룬 셈이다.
“월요일부터 금요일에는 LG 직원들이 점심이나 회식을 하러 오고요, 주말에는 LG 직원들이 가족들이랑 와요.”
5년 전 친누나와 함께 LG디스플레이만 보고 고깃집을 인수해 월롱면에서 ‘정일품’을 운영하는 이기민(45)씨는 “LG가 쉬면 우리도 장사를 쉬어야 하는 게 고민거리”라며 웃었다. 그는 “워낙 시골이라 주말에 멀리서 알음알음 찾아오는 손님들이 적어 (LG디스플레이 공장 증축 전에는) 식당 주인들이 자주 바뀐 걸로 알고 있다”고 밝혔다. 3년 전부터 LG디스플레이 기숙사 옆 김밥집에서 근무했다는 김미자(60·여)씨는 “불경기지만 그래도 여긴 LG 직원들 덕에 먹고산다”고 말했다.
파주 공장 주변의 상권은 8시간 단위로 짜여 있다. 오후 3시, 밤 11시, 오전 7시 이후 2시간 동안이 상가들의 ‘피크 시간대’다. 24시간 돌아가는 공장 생산직의 3교대 시간에 상인들이 운영 시간을 맞춘다. 실제로 이날 오후 3시 30분쯤이 되자 기숙사 앞에는 15대의 택시가 줄을 섰다. LG 기숙사에 있다는 한 직원(27)은 “오후 3시에 퇴근해서 일산에서 친구들과 만나려고 택시를 타려 한다”면서 “평소에도 문산 시내에 나가기 위해 택시를 자주 이용하는 편”이라고 말했다.
LG디스플레이가 지역 소비에 기여하는 건 이뿐만이 아니다. 지역 농산물 소비에도 큰 보탬이 되고 있다. 지난해 회사가 구내식당 등에서 소비한 파주산 쌀은 797t, 약 21억원어치에 달한다. 또 설날과 추석 등 지난해 명절에는 꿀, 홍삼, 머루주 등 파주시에서 생산된 농산물 2억 6700만원어치를 사내 특판품으로 매입했다.
LG디스플레이 임직원의 지역사회 공헌 활동도 파주시의 분위기를 바꾸고 있다. 회사는 복지시설, 저소득 가정들과 결연을 하면서 지난해 35개 시설, 37가구에 1억 3000여만원을 지원했다. 이 밖에도 회사는 노인요양시설 지원, 교복 지원, 김장 나눔 등에 한 해 5억 6900여만원을 투입하는 등 지역 후원 활동을 펼쳤다.
공장이 들어선 후 시는 대학도 2곳이나 유치했다. 경기 안성시와 광주에 본교를 둔 두원공과대와 서영대가 파주에 제2의 캠퍼스를 열었다. 특히 두원공대는 협력단지에 입주한 반도체전자, 디스플레이, LCD 장비 등과 관련된 전공을 개설했다. 또 회사는 두원공대를 통해 입사 고졸 사원에게 면학의 기회를 주고 있다. 자연스럽게 산·학 협력도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는 것이다.
김기범 LG디스플레이 파주 총무팀장은 “접경 지역 특성상 경제적으로 많이 뒤떨어졌던 곳”이라면서 “과거에는 직원 대부분이 서울이나 일산에서 출퇴근했는데 요즘에는 파주가 워낙 살기 좋아져서 아예 가족 전부를 데리고 정착하려는 직원들도 적지 않다”며 8년 전에 비해 사뭇 달라진 분위기를 전했다.
파주 명희진 기자 mhj46@seoul.co.kr
2014-08-11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