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소프트(MS)의 사티아 나델라 최고경영자(CEO)가 한국을 찾아 삼성전자·LG전자 등 국내 대표 정보통신기업 오너들과 사업협력을 다졌다. PC 운영체계(OS)인 윈도로 유명한 MS는 수년 전부터 사업의 중심을 PC OS에서 모바일 클라우드 서비스로 바꿔 왔다. 현재 아마존·구글과 함께 글로벌 3대 클라우드 서비스 기업으로 꼽힌다.
24일 서울 강남구 봉은사로 그랜드인터컨티넨탈호텔에서 열린 한국마이크로소프트의 연례 개발자 콘퍼런스에서 사티아 나델라 CEO가 연사로 나섰다. 한국마이크로소프트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24일 서울 강남구 봉은사로 그랜드인터컨티넨탈호텔에서 열린 한국마이크로소프트의 연례 개발자 콘퍼런스에서 사티아 나델라 CEO가 연사로 나섰다. 한국마이크로소프트 제공
한국은 나델라가 지난 2월 취임한 이후 찾은 첫 해외 국가다. 모바일 최강국으로 한국의 위상이 그만큼 높아졌다는 의미라고 MS 측은 설명했다.
나델라는 24일 구본준 LG전자 부회장과 회동했다. MS와 LG전자는 사물인터넷(IoT) 분야에서 포괄적으로 협력하기로 합의하면서 양해각서(MOU)도 체결했다. LG전자 관계자는 “LG전자의 혁신적인 기술력과 MS의 클라우드 서비스 플랫폼을 결합한 제품으로 차별화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지난 23일엔 전용기를 통해 입국하자마자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을 만났다. 이들은 삼성전자가 MS의 클라우드 플랫폼 애저(AZURE)를 활용하는 방안을 논의했다. 이와 함께 최근 진행 중인 특허 소송에 대해서도 의견을 나눴다.
나델라는 이날 서울 그랜드인터컨티넨탈호텔에서 열린 MS 개발자 콘퍼런스인 ‘테크 데이즈 코리아 2014’에서 기조연설자로 나섰다. 그는 “지금은 모바일 퍼스트, 클라우드 퍼스트 시대”라고 강조했다. 모바일 시대가 열리면서 디바이스의 수와 데이터 양이 급증했고, 이에 따라 클라우드 서비스가 점차 중시되고 있다는 의미다.
나델라는 “39년 전 빌 게이츠가 회사를 만들 때부터 MS는 개발자 중심으로 운영됐다”면서 “개발자들에게 기회를 제공하는 게 주요 목표였고 윈도라는 플랫폼도 그렇게 탄생하게 됐다”고 말했다.
김양진 기자 ky0295@seoul.co.kr
2014-09-25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