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채용제도 개편 관련 삼성그룹 일문일답

삼성 채용제도 개편 관련 삼성그룹 일문일답

입력 2014-11-05 00:00
수정 2014-11-05 10:4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삼성그룹은 ‘직무적합성평가’와 ‘창의성 면접’ 도입을 골자로 한 3급(대졸) 신입사원 채용제도 개편안을 5일 발표했다.

직무적합성평가를 통과한 지원자만 삼성직무적성검사(SSAT)를 볼 수 있으며, SSAT 합격자는 실무면접, 창의성 면접 그리고 임원면접을 봐야 한다.

채용과정이 기존 SSAT→실무면접→임원면접 3단계에서 직무적합성평가→SSAT→실무면접→창의성 면접→임원면접 5단계로 복잡해졌다.

다음은 삼성그룹 미래전략실 이준 커뮤니케이션팀장(전무)과의 일문일답.

-- 서류전형의 부활로 봐야 하는가.

▲ 직무적합성평가는 출신대학이나 어학연수와 같은 직무와 무관한 스펙은 반영하지 않는다. 직무 특성과 관련된 내용을 중심으로 평가하기 때문에 통상적인 의미의 서류전형과 다르다.

-- 직무적합성평가의 기준은 어떻게 되나.

▲ 직군별로 다르다. 연구개발·기술·소프트웨어직군은 전공능력을 위주로 평가한다. 하지만, 영업·경영지원직군은 전공과 무관하게 지원할 수 있기 때문에 특정 전공성적으로 평가하기 어렵다. 따라서 자기가 지원하는 직무에 얼마나 적합한 성향을 가졌는지를 평가한다. 예를 들어 영업직은 리더십, 협업능력, 사교성 등 적합성을 갖췄다고 하면 좋은 점수를 받을 수 있다. 어학연수 등 직무와 직접적으로 관련없는 스펙 쌓기에 몰두하기보다는 전공공부나 자신이 지원한 직무와 관련된 구체적인 경험을 준비해야 할 것이다.

-- 영업직군의 경우 리더십과 사교성이 있다는 것을 어떻게 보여주나.

▲ 지원할 때 직무 에세이를 제출해야 한다. 자기가 지원하는 직무에 얼마나 관심을 두고 얼마나 준비했는지를 에세이에 녹여서 제출하면 된다. 다만, 직무 에세이는 글을 잘 쓰는 능력을 평가하는 것이 아니므로 콘텐츠가 들어 있어야 한다. 실제 사례를 구체적으로 적시해서 표현해줘야 한다. 하지도 않은 경험을 마치 한 것처럼 허위로 제출할 수도 있는데 그런 경우는 심층 면접 단계에서 걸러낼 것이다. 영업직군은 1박2일 면접, 풀 데이(full-day) 면접 등을 해야한다.

-- 직무 에세이가 곧 자기소개서인가.

▲ 자기소개서는 성장배경이나 지원 동기를 쓰게 돼 있는데, 직무 에세이는 특이한 주제로 작성한다는 점에서 다르다. 에세이 주제나 분량은 계열사별로 별도 안내할 예정이다.

-- 연구개발·기술·소프트웨어직군은 직무 에세이를 쓰지 않나.

▲ 쓰지 않는다. 전공능력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입사 후 성과가 우수한 사원들의 성공 요인을 분석해보니 연구개발·기술직은 전공점수와 연관성이 높게 나타났다. 영업직이나 경영지원직은 상대적으로 연관성이 적게 나타났다. 연구개발직과 기술직은 전공능력이 얼마나 우수한지에 중점을 두고 평가한다. 대학에서 전공 과목을 얼마나 이수했는지, 얼마나 어려운 과목이었는지, 얼마나 좋은 점수 취득했는지 종합적으로 본다.

-- 사실상 서류전형의 부활 아닌가.

▲ 그건 아니다. 연구개발기술직은 전공에 대한 학점을 적어내는 것이다. 출신 대학 학적부라던가 4년간 이수한 학점을 제출할 필요는 없다. 그런 형태의 서류 전형이 아니다. 통상적인 의미의 서류전형처럼 출신대학, 전체 평균학점, 자격증, 어학연수를 보지 않는다.

-- 연간 SSAT 응시자가 20만명이 넘는다고 하는데, 채용제도 개편안이 도입되면 SSAT 응시자가 얼마나 줄어들 것으로 예상하나.

▲ 계열사별로 채용규모가 다르고, 상황에 따라 우수한 지원자가 많이 몰리면 직무적합성 평가를 통과하는 사람이 늘어날 것기 때문에 지금 일률적으로 몇 배수를 뽑겠다고 말하기 어렵다.

-- SSAT 응시자가 지금보다 줄어들지 않겠느냐.

▲ 지금보다는 줄어들 것이다.

-- 삼성이 SSAT에 들이는 비용도 줄어들지 않을까.

▲ 관련 비용을 산출하거나 비교하기 어렵다. 직무적합성평가라는 제도가 신설돼 SSAT 보는 인원이 과거보다 줄어들게 될 것이다. 하지만, 다양한 직무별로 필요한 특성과 직무역량을 반영해서 사람을 뽑으려고 채용제도를 개편하는 것이지, SSAT 응시인원 줄이는 게 목적이 아니다. 결과적으로 SSAT 응시인원이 줄어들어서 관련 비용이 줄어들 수는 있다.

-- 연구개발·기술·소프트웨어직군은 직무적성평가 결과에 따라 SSAT 가점을 준다고 했는데 어떤 기준으로 주는 건가.

▲ 전공과목을 몇 개나 이수했고, 얼마나 어려운 과목 들었고, 높은 학점을 얻었는지 평가한다. 가점의 기준은 계열사별로 다를 것이다. 가점을 받으려면 전공과목 학점이 좋아야 한다. 물리 같은 기초 과목을 포함해 전공과목을 심화과정까지 폭넓게 공부를 하면 가점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 영어 말하기 점수는 여전히 필요한가.

▲ 지금과 똑같이 유지된다. 일정한 수준 이상이면 통과된다.

-- 연구개발·기술·소프트웨어직군의 경우 가점이 높으면 SSAT를 면제받을 수 있나.

▲ 면제는 없다.

-- 대학별로 차등을 두지 않는다고 했는데, ‘학점 인플레’가 있는 대학도 있을 텐데.

▲ 당장 한 두 번은 통할 수 있지만, 인플레가 있어서 들어온 직원이 우수한 업무를 못 낼 가능성이 크다. 학점을 부풀려 준 대학과 기업간 신뢰관계가 성립할 수 없다. 일단은 대학에서 운영하는 학점 제도를 신뢰한다는 전제하에서 이 제도를 시행하려고 한다. 대학을 못 믿겠다고 하면 개편한 제도를 시행할 수 없다.

-- 4급 채용에도 이 제도가 적용되나.

▲ (임성택 상무) 검토하고 있다.

-- 소프트웨어직군은 SSAT를 보지 않는 건가.

▲ 그렇다. 대신 4시간 동안 특정 주제에 대한 코딩과 알고리즘 개발능력을 평가하는 ‘소프트웨어 역량테스트’를 봐야 한다. 실기시험인 셈이다.

-- 내년 채용 인원은 올해와 같나.

▲ 내년 경영계획이 아직 수립되지 않았다.

-- 인문계와 이공계 인력 사이에 벽이 두꺼워지는 것 같다. 이공계 인력의존도가 높아지는 것 아니냐.

▲ 가점을 전공에 따라 주는 게 아니라 지원하는 직군에 따라 주는 것이다. 즉, 이공계냐 인문계냐에 따라 가점을 주는 게 아니다. 인문계 출신이 연구개발·기술·소프트웨어직군에 지원할 수 있다. 반대로 이공계 출신이 영업직과 경영지원직에 지원할 수 있다. 다만, 연구개발·기술·소프트웨어직은 전공능력이 중요하다고 판단되니 그 직군에 지원하는 사람 뽑을 때 직무 역량에 적합한 사람을 뽑으려고 가점을 주는 것이다. 나머지 직군에 대해서는 어떠한 차별도 없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정치적 이슈에 대한 연예인들의 목소리
가수 아이유, 소녀시대 유리, 장범준 등 유명 연예인들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 집회에 대한 지지 행동이 드러나면서 반응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연예인이 정치적인 이슈에 대해 직접적인 목소리는 내는 것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연예인도 국민이다. 그래서 이는 표현의 자유에 속한다.
대중에게 강력한 영향력을 미치는 연예인은 정치적 중립을 지켜야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