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단은 이렇습니다. 기업은행은 2013년부터 거의 상시적으로 ‘캐시백 서비스’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주로 기업은행 휴면카드 고객이 대상입니다. 이벤트 기간 동안 기업은행 카드(신용·체크)로 1만원 이상을 결제하면 두 달 뒤 청구명세서에서 5000원을 차감하거나 카드 결제 계좌로 입금해 줍니다. 1만원을 카드로 쓰면 5000원을 현금으로 돌려받는 셈입니다.
카드업계에서는 이 혜택 규모가 ‘지나치게 크다’고 볼멘소리입니다. 여신전문금융업법상 신규카드 회원 모집 시 연회비 10% 이내에서만 경품이나 혜택을 제공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고액의 경품을 미끼로 신규 고객 유치에 나서는 과열 경쟁을 차단하려는 의도죠. 그런데 휴면카드 고객에 대한 마케팅 비용은 제한이 없습니다. 다만 업계에서 휴면카드 고객에게 지급하는 마케팅 비용은 통상 결제 금액의 10~30%입니다. 30%까지 혜택을 제공하는 경우도 드물다고 합니다. 이런 업계 관행에 비춰 볼 때 기업은행의 캐시백 제공 규모가 과하다는 지적이죠.
기업은행의 고민을 이해 못하는 것은 아닙니다. 기업은행 측은 “유효카드 고객 숫자를 늘리기 위해서”라고 해명합니다. 기업은행의 휴면카드 고객 비중은 올 9월 말 기준 전체의 13.34%입니다. 은행을 계열사로 거느린 카드사인 신한(4.68%)·국민(9.35%)·우리(9.91%)카드 등에 비해 그 비중이 훨씬 높죠.
그럼에도 근본 처방은 엇나갔다는 생각이 듭니다. 영업점마다 행원들은 실적을 채우기 위해 매번 카드 모집 수량을 할당받습니다. 주로 가족이나 주변 지인에게 읍소해 억지로 숫자를 채워 갑니다. 고객이 ‘필요’에 의해서가 아니라 ‘인정’(人情)에 이끌려 가입한 카드는 휴면카드로 이어지는 경우가 다반사입니다.
뿌리부터 튼실하게 은행의 수익 기반을 쌓아올려 가고 싶다면 차별화된 상품과 서비스를 먼저 고민해 보기 바랍니다. 행원을 쥐어짜는 영업이나 퍼주기 경품으로는 고객의 마음을 움직일 수 없기 때문입니다.
이유미 기자 yium@seoul.co.kr
2015-12-02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