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은 저성장 시대를 맞아 대대적인 사업 재편을 단행했다. 이를 통해 막을 열어젖힌 ‘삼성 3.0’ 시대에는 기존에 주도해 온 산업에 안주하지 않고 바이오, 스마트카 등 미래 신수종 산업에서 돌파구를 모색한다.
이미지 확대
인천 송도에 세워진 삼성바이오로직스 공장의 내부 모습. 삼성은 앞으로 5년 내 세계 1위의 바이오 의약품 생산기업으로 도약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삼성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인천 송도에 세워진 삼성바이오로직스 공장의 내부 모습. 삼성은 앞으로 5년 내 세계 1위의 바이오 의약품 생산기업으로 도약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삼성 제공
반도체, 스마트폰에 이은 삼성의 승부처는 바이오 분야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총 8500억원을 들여 인천 송도에 세계 최대 규모의 바이오 의약품 생산 공장을 짓는다. 2018년 말 가동을 목표로 하는 제3공장은 연간 생산능력 18만ℓ로, 바이오 의약품 단일 공장으로는 세계 최대 규모다. 삼성은 향후 5년 내 세계 1위의 바이오 의약품 생산기업(CMO)으로 도약한다는 청사진을 그리고 있다. 또 삼성바이오에피스의 류마티즘 관절염 치료제인 바이오시밀러 ‘베네팔리’가 유럽 시장의 문을 열며 삼성의 ‘바이오 승부수’ 전망을 밝히고 있다.
자동차와 정보기술(IT) 격전의 장이 펼쳐질 스마트카 분야에도 뛰어든다. 삼성은 지난해 말 조직 개편을 통해 전장사업팀을 신설, 스마트카 분야 진출을 공식화했다. 삼성전자와 삼성전기, 삼성디스플레이 등 계열사의 기술력을 총집결한다는 전략이다.
반도체에서도 ‘초격차 전략’을 이어 간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5월 경기도 평택 고덕 국제화계획지구 산업단지에 세계 최대 규모의 반도체 생산라인 건설에 착수했다. 평택 반도체단지는 총 부지 면적이 289만㎡로, 삼성전자는 2017년까지 1단계로 총 15조 6000억원을 투자한다.
2016-02-25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