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양현장서 100㎞…“수심·상재하중·면적 등 적합”
세월호가 인양 후 목포신항에 놓인다.해양수산부는 세월호 거치장소를 목포신항 철재부두로 정했다고 3일 밝혔다.

해양수산부 제공
해양수산부는 세월호를 인양한 뒤 거치할 장소를 목포신항 철재부두로 결정했다고 3일 밝혔다. 사진은 목포신항 철재부두 모습.
해양수산부 제공
해양수산부 제공
세월호 거치장소는 선체를 올릴 수 있도록 수심이 6m 이상, 상재하중은 ㎡당 2.72t 이상, 육상에서 선체정리작업을 위해 부지는 2만㎡ 이상이어야 했다.
그간 해수부는 목포신항을 비롯해 광양항, 진도항 등 전남권 주요항만과 조선소 7곳을 후보지로 놓고 거치장소를 결정하는 작업을 벌여왔다.
목포신항 석탄부두와 컨테이너부두는 각각 상재하중이 미달(1㎡당 1.5t)하거나 선체정리작업에만 사용하기 어려워 거치장소가 되지 못했다.
목포신항 외에는 광양항이 유력했었다.
광양항(율촌부두)은 정부가 소유해 민간업자가 운영하는 목포신항보다 세월호를 오래 거치해도 부담이 없다는 점이 장점이었다.
하지만 인양현장과 거리가 240㎞로 목포신항보다 멀고 현재 율촌부두에서 처리 중인 중량화물을 다른 곳으로 옮기기 어려워 선체정리작업과 화물하역작업을 같은 곳에서 동시에 할 수밖에 없어 거치장소로 선정되지 못했다.
진도항은 수심(3m)과 상재하중(1㎡당 1t) 기준을 충족하지 못했고 조선소들은 연중 도크사용일정을 조정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해수부 관계자는 “목포신항을 운영하는 민간업자와 철재부두를 6개월간 사용하고 필요하면 연장할 수 있도록 하는 방향으로 계약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세월호를 거치하기 전에 현장 사무소를 설치하고 미수습자를 수습할 수 있도록 준비해 거치 이후 작업에 차질이 없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현재 세월호 인양업체 상하이샐비지는 7월 중 세월호가 인양되도록 수중작업을 벌이고 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