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은 보상 얘기할 때 아니다”…‘전기’등 계열사들도 대책 막막
“아버지 돌아가시고 발인도 안 끝났는데 벌써 유산 문제를 거론할 수는 없죠.”(삼성 A계열사)
12일 부품업체 관계자 말을 종합해 보면 삼성전자는 당초 노트7 목표 판매량을 약 1000만대로 잡았다. 부품업체들도 이에 맞게 발주와 생산 계획을 짰다. 하지만 지난달 리콜 사태가 터지면서 계획에 차질이 생겼다. 그래도 재판매 가능성이 높다고 본 부품사들은 4분기를 대비해 재고를 축적해 놨다. B부품사는 “삼성전자에 비해 협력사가 느끼는 피해 정도가 큰 건 사실”이라면서도 “지금은 보상 얘기를 꺼낼 단계가 아닌 것 같다”고 말했다. ‘선(先)폐기 처분, 후(後)협상’을 하겠다는 설명이다.
다만 보상이 얼마나 될지는 의견이 갈렸다. C부품사는 “6년 전 삼성전자가 재고 부담을 온전히 떠안은 적이 있다”면서 “부품 결함이 없다면 이번에도 100% 보상해 주지 않겠느냐”며 내심 기대를 했다. 일각에서는 다른 제품(갤럭시S7, A·J시리즈 등) 물량 보전에 그칠 것으로 내다봤다. 삼성 계열사들도 막막하긴 마찬가지다. 삼성전기 관계자는 “이미 컨베이어 벨트에 올라간 제품은 생산할 수밖에 없다”면서 “아직 라인 전환 계획이 안 나왔다”고 말했다.
김헌주 기자 dream@seoul.co.kr
2016-10-13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