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1.7%P↓… 빈곤층은 ↑
지난해 지니계수와 소득 5분위 배율 등 분배지표가 5년 만에 일제히 악화된 가운데 중산층의 비율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6일 통계청 가계동향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의 중산층 비중은 65.7%로 전년(67.4%) 대비 1.7% 포인트 하락했다. 일반적으로 중산층은 중위소득의 50~150%를 뜻한다. 50% 이하는 빈곤층으로 분류된다. 지난해 우리나라 중위소득은 196만원이다.
중산층 비중은 2011년 64.0%에서 2012년 65.0%, 2013년 65.6%로 상승했다가 2014년 65.4%로 소폭 하락했다. 2015년 67.4%로 반등했지만 1년 만인 지난해 다시 꺾였다.
지난해 중산층 비율이 하락하면서 이는 빈곤층 상승으로 이어졌다.
2011년 15.2%였던 빈곤층은 2012~13년 14.6%, 2014년 14.4%, 2015년 13.8%로 점차 하락했다가 지난해 14.7%로 반등했다. 이는 5년 만에 일제히 악화된 소득분배 지표와 관련이 있다는 분석이다.
●지니계수 소득격차 등 지표 악화
처분가능소득 기준 지니계수(0에 가까울수록 평등)는 2012년 0.307, 2013년 0.302, 2014년 0.302, 2015년 0.295까지 내려갔다가 지난해 0.304로 상승했다.
또 상위 20% 계층(5분위)의 소득을 하위 20% 계층(1분위)의 소득으로 나눈 소득 5분위 배율 역시 지난해 5.45배로 2011년(5.73배) 이후 5년 만에 악화됐다.
통계청 관계자는 “소득분배 악화는 실업과 자영업 경쟁 심화 등으로 저소득층 소득이 감소하면서 더 큰 타격을 받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고 말했다.
세종 장형우 기자 zangzak@seoul.co.kr
2017-06-07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