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노년 저소득층 10명중 8명, 65세 이후 ‘무연금’ 신세

중노년 저소득층 10명중 8명, 65세 이후 ‘무연금’ 신세

입력 2017-06-28 07:08
수정 2017-06-28 07:0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최상위층 99%는 국민·개인·퇴직연금 중 하나 이상 받아

38∼63세 중·노년 저소득층 10명 중 8명은 65세가 되도 국민연금은 물론 개인연금이나 퇴직연금도 받지 못하는 노후소득 사각지대에 놓일 것이라는 분석결과가 나왔다.

28일 감사원의 ‘고령사회 대비 노후소득보장체계 성과분석’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보건사회연구원(보사연)에 의뢰해 1954∼1979년 출생자를 대상으로 소득 분위별로 연금 수령 여부를 추정한 결과 이같은 결론을 얻었다.

보사연은 국민연금 데이터베이스 자료와 금융감독원의 사적연금 자료 등을 바탕으로 국민연금·퇴직연금·개인연금의 가입실태를 살펴보고 각 연금의 소득분위별 수급자 비율을 분석했다.

기초연금은 청·장년기 공·사적 연금가입과 무관하게 소득 하위 70% 이하의 65세 이상 노인에게 지급하는 방식으로, 국민연금·퇴직연금·개인연금과는 성격이 달라서 분석에서 제외했다.

분석결과, 이들 연령층이 65세 이상에 이르렀을 때 국민연금이나 개인연금, 퇴직연금 가운데 어느 하나의 연금이라도 받는 공·사적연금 수급자 비율은 최하위소득층인 소득 1분위(소득 20% 이하)의 경우 17.9%에 불과했다. 10명 중 8명 이상인 82.1%는 아무런 연금도 수급하지 못하는 무연금자 신세가 될 것이라는 추정이다.

소득 2분위(소득 20∼40%)도 연금수급 비율이 48.1%에 그쳐 노인빈곤 문제를 우려케 했다.

이에 반해 최상위 소득계층인 소득 5분위(소득 80∼100%) 대부분(98.7%)은 국민연금이나 개인연금, 퇴직연금 중에서 적어도 한 가지 이상의 연금을 받을 것으로 나타났다.

중상위 계층인 소득 4분위(소득 60∼80%)의 공·사적 연금 수급자 비율은 89.3%, 중간소득 수준인 소득 3분위(소득 40∼60%)는 80.6% 등으로 대체로 높았다.

한편, 전체 노인 인구의 공·사적 연금 수급자 비율은 2016년 30%에 머물지만, 각 연금제도가 무르익으면서 점진적으로 높아져 2020년 37.0%, 2030년 42.3%, 2040년 55.5%에 이를 것으로 보사연은 전망했다.

다만, 퇴직연금은 퇴직급여를 연금형태로 받지 않고 일시금으로 수령하는 비율이 높아 2016년 현재 퇴직연금 수급자는 3천여 명에 불과할 정도로 아직 활성화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정치적 이슈에 대한 연예인들의 목소리
가수 아이유, 소녀시대 유리, 장범준 등 유명 연예인들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 집회에 대한 지지 행동이 드러나면서 반응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연예인이 정치적인 이슈에 대해 직접적인 목소리는 내는 것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연예인도 국민이다. 그래서 이는 표현의 자유에 속한다.
대중에게 강력한 영향력을 미치는 연예인은 정치적 중립을 지켜야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