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코스피 이익 40% 증가 ‘사상 최대’…매출 10%↑

작년 코스피 이익 40% 증가 ‘사상 최대’…매출 10%↑

김태이 기자
입력 2018-04-03 14:38
수정 2018-04-03 14:3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소수 기업 ‘쏠림 현상’ 한계…코스닥 순이익률은 낮아져

지난해 유가증권(코스피) 시장 상장사의 이익이 두 자릿수의 높은 증가율을 보이면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그러나 실적 성장이 삼성전자 같은 일부 기업과 일부 업종에 치중되는 한계점은 여전했다.

한국거래소와 한국상장회사협의회가 3일 12월 결산 코스피 상장사 533곳(금융업 제외)의 연결재무제표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연간 매출은 1천823조1천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9.96% 늘었다.

영업이익은 157조7천억원으로 28.17% 증가했고 순이익은 114조6천억원으로 40.12% 늘었다.

2016년에는 매출이 거의 정체된 상태로 사상 최대의 이익을 올려 ‘불황형 흑자’로 평가됐지만 지난해는 외형도 어느 정도 함께 성장하면서 이익은 더 가파르게 늘렸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률과 순이익률은 8.95%와 6.29%로 2016년보다 각각 1.23%포인트, 1.35%포인트 높아졌다.

반도체 업황 호조와 수출 증가 등이 호실적의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윤희도 한국투자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상장사의 실적 개선은 글로벌 경기 호황에 힘입은 결과”라고 평가했다.

그러나 실적 개선이 여전히 일부 기업에 쏠려있는 점은 아쉬운 부분으로 지목된다.

실제로 삼성전자를 뺀 지난해 매출과 영업이익은 1천583조5천억원과 104조1천억원으로 각각 8.76%, 10.94% 늘어 실적 증가율이 삼성전자를 포함할 때보다 눈에 띄게 낮아졌다.

변준호 유진투자증권 리서치센터장은 “반도체, 석유화학 등 일부 업종에 이익이 쏠려있는 한계는 있다”고 말했다.

삼성전자 영업이익은 53조6천억원으로 전체 상장사의 34.01%에 달했고 SK하이닉스는 13조7천억원으로 8.70%를 차지했다.

이들 기업을 포함해 상위 10곳의 영업이익 합계는 98조5천억원으로 전체의 62.43%에 이른다.

분석 대상 기업 중 424곳은 당기순이익이 흑자를 올렸으나 108곳은 적자를 냈다. 특히 적자 전환 기업이 49곳으로 흑자전환 기업(37곳)보다 많았다.

작년 말 현재 부채비율은 109.32%로, 전년 말보다 4.74%포인트 낮아졌다.

개별·별도 재무제표를 제출한 분석 대상 639곳의 작년 연간 매출은 1천100조4천억원으로 전년보다 9.46% 늘었다.

이들의 영업이익(100조6천억원)과 순이익(79조4천억원)은 각각 48.86%와 57.60% 증가했다.

그러나 업종별로 보면 전기전자, 비금속광물, 서비스, 건설 등 10개는 순이익이 늘거나 흑자 전환한 반면 전기가스, 운수장비, 종이목재 등 7개는 순이익이 줄거나 적자 전환했다.

금융업종에 속한 44개 기업의 연결재무제표 기준 영업이익(27조9천억원)과 순이익(21조6천억원)은 각각 48.3%와 20.5% 늘었다.

세부적으로는 증권업의 영업이익이 77.4% 늘었고 금융지주(54.2%), 보험(42.9%), 은행(34.5%), 기타(28.1%) 등 순이었다.

순이익도 증권업이 71.0%의 증가율을 보이는 등 비슷한 추세를 보인 가운데 보험업(-3.9%)이 유일하게 감소세를 나타냈다.

코스닥 상장사들은 외형과 수익성 성장세가 코스피 기업보다는 상대적으로 약했다.

거래소와 코스닥협회가 집계한 12월 결산 코스닥 법인 861곳의 지난해 연결 기준 매출은 170조1천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9.74% 늘었다.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9조8천억원과 4조9천억원으로 각각 11.86%와 3.44% 증가했다.

이에 따라 매출액 영업이익률은 5.74%로 2016년보다 0.11%포인트 높아졌지만, 매출액 순이익률은 2.88%로 0.18%포인트 낮아졌다.

861곳 중 532곳은 흑자를 냈고 329곳은 적자를 기록했다. 역시 적자전환 기업이 129곳으로, 흑자전환(78곳)보다 많았다.

특히 개별·별도 재무제표를 제출한 코스닥 상장사 1천105개사의 매출과 영업이익은 8.97%, 17.27% 각각 늘었지만, 순이익은 1.41% 감소했다.

김용일 서울시의원, 서대문구청장 ‘찾아가는 현장민원실’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11일 이성헌 서대문구청장의 ‘찾아가는 현장민원실’에 참석, 북가좌1동과 북가좌2동 주민들의 목소리를 경청했다고 밝혔다. 행사는 오후 2시 북가좌1동을 시작으로 오후 3시 30분 북가좌2동에서 이어졌다. 김 의원은 주민들에게 큰절로 인사를 건네 박수를 받았으며, 특히 김 의원의 거주지인 북가좌1동에서는 더욱 열렬한 박수를 받아 눈시울을 붉혔다. 김 의원은 현장에서 “뉴타운과 올드타운의 민원 차이를 실감했다”라며 “하루빨리 지역이 개발되어 삶의 질이 향상되기를 바라며, 개발 시 소외되는 계층이 없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북가좌1동에서는 북가좌초등학교, 가재울중·고등학교 주변 전동 킥보드 정리, 재건축 6구역 진행 상황, 저층 주거지 내 어르신 쉼터 조성, 수색로 맨발길과 반려견 산책로 환경정리, 교통 복지 관련 관내 셔틀버스 운행, 불광천 산책로 은평·마포구간 비교, 쓰레기 적환 시설, 수색로변 의자 설치와 조명 개선, 중앙공원 어린이 물놀이터 탈의실, 6구역 내 음식물 쓰레기 처리 등 다양한 민원이 제기됐다. 북가좌2동에서는 강북횡단선 북가좌동 정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서대문구청장 ‘찾아가는 현장민원실’ 참석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