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성율 카이스트 기술자문단장
日 경제침략 대응 위해 기업 자문단 세워전현직 5개 분야·123명 교수 자발적 참여
만약의 사태 발생시 바로 활용할 수 있게
시간 걸려도 지금 가장 필요한 건 ‘꾸준함’
최성율 카이스트 기술자문단장
최성율(49) 카이스트 공과대 부학장은 20일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최근 회자되고 있는 기술 자립화에 대해 이렇게 답했다. 최 부학장은 카이스트가 최근 일본의 경제 침략에 대응하기 위해 지난 5일 설치한 ‘카이스트 소재부품장비 기술자문단’(KAMP) 단장을 겸하고 있다. 카이스트가 대학으로는 처음 자문단을 만든 이후 서울대, 포스텍, 연세대, 한양대 등도 중소·중견기업을 위한 자문단 설치에 나섰다.
카이스트 기술자문단 설치 소식이 전해진 뒤 하루 평균 15건이 넘는 전화와 메일 상담이 쏟아지고 있어 최 단장은 요즘 눈코 뜰 새 없이 바쁜 하루를 보내고 있다. 이 중 공식적으로 자문 신청을 해 온 중소, 중견기업은 18곳으로 현재 해당 분야 교수진이 자문에 착수한 기업은 3곳이다. 자문 요청을 해 온 기업들 대부분은 이번 일본의 수출 규제에 따른 피해를 입게 된 소재, 부품 분야로 알려졌다.
최 단장은 “단기적으로는 일본 수출 규제나 전략물자 관련 기업들의 기술개발 애로점을 해결해 주는 것이지만 중장기적으로 최고 수준의 기술 확보를 위한 자문을 하는 것이 목표”라면서 “현재 자문단에 참여하고 있는 교수들은 전현직 포함해 5개 분야 123명으로 모두 자발적으로 손 들고 나온 분들”이라고 말했다.
“우리나라는 1970~80년대에 압축 성장하면서 완성품을 만드는 산업화 기술은 엄청나게 발전해 세계적 수준에 이르렀지만, 기본적인 원천 기술 개발에 소홀했던 것이 사실입니다. 그것이 소재, 부품 분야 기술 경쟁력을 약화시킨 것이라고 볼 수 있을 겁니다.”
최 단장은 “과거에는 국제적 분업 체계가 잘 돌아갔기 때문에 국내에 기술이 없거나, 있더라도 가격경쟁력이 떨어진다고 생각하면 다른 나라에서 사오면 됐다”면서 “그런 선택이 효율성 차원에서 보면 더 좋기 때문에 완성품 업체들이 그렇게 해 왔던 것인데 지금 일본처럼 국제 분업 체계를 교란시키는 상황이 발생하면 곤란을 겪을 수밖에 없다”고 진단했다.
‘지금 이 시점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를 묻는 질문에 최 단장은 ‘꾸준함’이라고 답했다. 과거에도 소재·부품·장비 분야 기술을 국산화하자는 움직임이 있었지만 성과를 제대로 내지 못했던 것은 꾸준함이 없었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지금 연구개발을 해 국산화하는 것은 상당히 어려운 만큼 시간이 걸리더라도 전략기술이 무엇인지 정하고 중장기적으로 연구개발을 진행해 전략기술을 확보하는 게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최 단장은 “현재 상황을 너무 불안해할 필요는 없지만 정부와 기업, 연구자가 머리를 맞대고 우리에게 필요하고 부족한 점이 무엇인가를 고민해 전략을 마련하는 등 조용히 준비해야 할 때가 바로 지금”이라고 다시 한 번 강조했다.
유용하 기자 edmondy@seoul.co.kr
2019-08-21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