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0.1% 근로소득자 1만8천명, 하위 17% 324만명만큼 번다

상위 0.1% 근로소득자 1만8천명, 하위 17% 324만명만큼 번다

신성은 기자
입력 2019-10-06 11:27
수정 2019-10-06 11:2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상위 0.1% 근로소득자가 중위 소득자의 31배를 버는 것으로 나타났다.

약 1만8천명인 이들이 벌어들인 근로소득은 하위 17%까지인 324만명이 버는 근로소득과 맞먹는 수준이었다. 월급쟁이 사이에서도 소득 양극화가 뚜렷한 것이다.

6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김정우 의원이 국세청의 ‘귀속 근로소득 천분위’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17년 상위 0.1%(1만8천5명)의 연평균 근로소득(총급여 기준)은 8억871만원이었다.

근로소득 천 분위는 지난해 2017년 국내 근로소득자 1천800만5천534명의 소득을 백분위보다 더 잘게 쪼개 나타낸 분포로, 구간 내 소득자 간 차이는 줄고 구간별 소득 격차는 더 정밀하게 분석할 수 있다.

소득이 딱 중간인 50% 구간(중위소득)의 근로자들은 연간 2천572만원을 벌었다.

상위 0.1%가 중위 소득자보다 31.4배 더 버는 셈이다.

월평균으로 따지면 상위 0.1%는 매달 6천739만원을 벌었다. 중위 소득자의 월평균 근로소득은 214만원이었다.

상위 0.1%의 총 근로소득은 14조5천609억원으로, 전체 근로소득자 총급여(633조6천114억원)의 2.3%에 해당했다.

1만8천명에 불과한 상위 0.1%가 상위 83~100%(하위 17% 구간·324만997명)의 총 근로소득(15조4천924억원)과 맞먹는 돈을 벌어들인 것이다.

상위 1% 구간(18만55명)의 연평균 근로소득은 2억6천417만원, 상위 10% 구간(18만55명)은 7천557만원으로 각각 집계됐다.

상위 1%의 총 근로소득은 47조5천652억원으로 전체의 7.5%를 차지했고, 상위 10%(180만553명)의 총 근로소득은 202조9천708억원으로 전체의 32.0%에 달했다.

2017년 전체 근로자 1천800만5천534명의 1인당 연평균 근로소득은 3천519만원이었다.

‘결정세액 0원’의 면세자 구간인 하위 22%에 속하는 414만1천273만명의 1인당 연평균 근로소득은 628만원에 불과했다.

김 의원은 “근로소득 통계를 분석해보면 2017년까지 봉급 생활자의 소득도 명확하게 양극화돼 있는 추세가 확인된다”며 “통계에 잡히지 않는 일용직과 아르바이트 등을 포함하면 실제 근로소득 양극화는 더 심각한 수준일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그는 “국민소득 3만 달러의 성과가 국민이 실제 체감하는 소득 효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양극화를 해소하고 내수 경제 선순환을 유도하는 소득주도성장 정책을 견지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근로소득 상·하위 10%가 전체 근로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보더라도 소득 양극화가 두드러졌다.

국회 기재위 소속 민주당 심기준 의원이 국세청 자료를 분석한 결과, 근로소득 상위 10%가 전체 근로소득의 32%를 차지한 반면, 하위 10%의 근로소득은 전체의 0.7% 수준에 불과했다.

2017년 총급여 기준 근로소득 상위 10%인 180만553명의 근로소득은 전체 633조6천117억원의 32%에 해당하는 202조9천708억원이었다.

또한, 상위 1%인 18만55명의 근로소득은 47조5천652억원으로 전체의 7.5%를 차지했다.

상위 1%의 1인당 평균소득은 2억6천417만원으로, 전체 1천800만5천여명의 근로소득자 1인당 평균소득 3천519만원의 7.5배에 달하는 금액이었다. 하위 10% 근로소득자 1인당 평균소득인 243만원과 비교하면 100배가 넘는다.

양극화를 나타내는 지표인 5분위 배율(상위 20% 소득을 하위 20% 소득으로 나눈 값)은 2017년 16.3배였다.

심 의원은 “근로소득 총액이 2013년 498조원에서 2017년 633조원으로 135조원 가까이 늘었지만 상위 1%, 상위 10%가 차지하는 비중은 여전히 변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소득 하위 가구의 근로소득 감소를 막고 양극화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을 찾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