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싸 놀이터’ 클하 빈자리 노려라…음성 기반 SNS 잇따라 출시

‘인싸 놀이터’ 클하 빈자리 노려라…음성 기반 SNS 잇따라 출시

안석 기자
안석 기자
입력 2021-06-19 13:00
수정 2021-06-19 13: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스포티파이 첫 SNS ‘그린룸’ 손보여
카카오판 클럽하우스 ‘음’도 관심

올해초 큰 인기를 모으다 주춤하고 있는 음성 기반 소셜미디어 클럽하우스의 빈자리를 차지하기 위한 대항마들이 잇따라 출시되고 있다. 오디오 시장의 성장과 함께 대세로 자리매김할지, 최근 인기가 사그라진 클럽하우스의 전철을 밟을지 주목된다.

18일 외신들에 따르면 세계 최대 음악 스트리밍 플랫폼 스포티파이가 최근 음성 기반 소셜미디어인 ‘그린룸’을 선보였다. 지난 3월 스포츠 중심 오디오 소셜미디어인 락커룸을 인수한 후 이를 그린룸으로 확대한 것으로, 스포티파이 사용자들은 기존 계정으로 로그인할 수 있다. 현재는 한 방에 최대 1000명이 수용 가능하며 앞으로 인원은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스포티파이의 첫 소셜미디어인 그린룸에 관심이 쏠리는 이유는 스포티파이가 보유한 방대한 음원 서비스나 팟캐스트가 음성 기반 소셜미디어와 연계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린룸의 주제는 기존 락커룸과 달리 스포츠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용자들이 같은 취향의 음악을 들으며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을 것으로도 예상된다.
이달 초 소셜 오디오 플랫폼 ‘음(mm)’의 베타 서비스를 출시한 카카오는 오디오 크리에이터 모집에 나서는 등 이용자 확대에 나서고 있다. ‘음’은 은 감탄사 ‘음…’에서 따온 이름으로, 카카오톡 오픈채팅과 연동되는 카카오판 ‘클럽하우스’다. 코로나19 영향으로 이용자들의 비대면 대화 수요가 늘어나고 글로벌 시장에서 오디오 플랫폼이 트렌드로 떠오르며 이에 맞춰 새로운 서비스를 출시했다는 게 카카오의 설명이다.

카카오는 베타서비스 운영을 통해 이용자들의 사용 패턴을 분석하고 클럽하우스처럼 ‘반짝 인기’에 그치지 않도록 다양한 기능들을 순차적으로 보완해 갈 예정이다.

앞서 트위터 스페이스, 페이스북 라이브 오디오 룸스 등 글로벌 빅테크들은 클럽하우스와 유사한 소셜미디어를 잇따라 소개한 바 있다. ‘인싸’들의 소셜미디어로 불리던 클럽하우스가 폐쇄적이라는 비판에 직면한 사이 다른 경쟁사들은 개방성과 자신만의 노하우를 접목해 경쟁에 나선 것이다. 여기에 스포티파이 등도 이들의 뒤를 따르며 음성 기반 플랫폼 시장은 앞으로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도 전망된다.

안석 기자 sartori@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