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1만여명… 정규직 증가보다 25배 빨라
용역·파견 15만→ 19만명으로 28% 급증
기재부 “ICT 취업 때 비정규직 선호 영향”
28일 통계청의 ‘국가통계포털’(KOSIS)을 보면 올 8월 기준 20대 비정규직 숫자는 141만 4000명으로 1년 전 같은 달 128만 3000명에 비해 10.2%(13만 1000명)나 급증했다. 같은 기간 20대 정규직은 211만 6000명에서 212만 4000명으로 0.4%(8000명) 늘어나는 데 그쳤다. 증가 비율로 봤을 때 비정규직이 정규직보다 무려 25배나 높은 셈이다.
20대의 경우 비정규직 중에서도 용역과 파견 등 비전형 근로자가 28.4%(15만 5000명→19만 9000명)나 늘었다. 근로계약 기간을 설정한 기간제 근로자와 비자발적 사유로 계속 근무를 기대할 수 없는 비기간제 근로자를 합친 한시적 근로자는 16.5%(77만 8000명→90만 6000명), 시간제 근로자는 9.5%(63만명→69만명) 증가했다.
기획재정부와 고용노동부 등 정부는 비정규직 급증 현상에 대한 해명을 하고자 연일 진땀을 흘리고 있다. 이번 통계가 ‘비정규직 제로(0)’를 표방했던 문재인 정부 임기 말 역설적인 결과이기 때문이다. 정부는 통계가 발표된 지난 26일에 이어 27일에도 원인 등을 분석한 자료를 냈는데 코로나19와 함께 인구고령화를 주요 원인으로 꼽았다. 비정규직 근무를 선호하는 노인인구 증가 탓에 이런 현상이 나타났다는 것이다. 20대 비정규직 급증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이 없었다.
기재부 관계자는 “20대 비정규직 증가는 일차적으로 코로나19로 감소했던 아르바이트 자리가 다시 늘어난 영향이 있고, 20대가 괜찮은 일자리인 정보통신기술(ICT) 업종에 취업하면서 정규직보다 비정규직 채용을 선호한 것도 한 원인”이라고 말했다. 정규직은 무조건 ‘좋은 일자리’, 비정규직은 ‘나쁜 일자리’라는 고정관념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박영범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는 “미국처럼 비정규직이 정규직으로 전환되는 과정 중 하나라면 상관없지만 우리나라는 그렇지 않다는 게 문제”라며 “최근 청년들의 ICT 비정규직 급증은 공공일자리인 디지털인턴 등이 생긴 원인으로 보이는데, 과연 이들이 얼마나 정규직으로 전환될지는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2021-10-29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