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전자 제공
23일 경기 수원 삼성 디지털 시티에서 열린 ‘삼성 헌혈버스 전달식’에서 박학규(오른쪽 다섯 번째) 삼성전자 사장이 신희영(두 번째) 대한적십자사 회장 등과 함께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삼성전자 제공
삼성전자 제공
새 헌혈버스를 제작할 수 있는 재원이 된 건 삼성 계열사 임원들이 지난해 받은 특별격려금의 10%씩 떼어 모은 100억여원이다. 삼성은 올해 4대를 시작으로 앞으로 10년간 총 40대의 헌혈버스를 지원한다.
삼성이 혈액 부족 현상을 해소할 방안으로 헌혈버스 기부를 생각해 낸 데는 이유가 있다.
헌혈버스를 이용한 단체 헌혈은 전체 헌혈 횟수의 3분의1인 33%를 차지할 만큼 비중이 크다. 하지만 현재 대한적십자사가 전국 15개 혈액원에서 운영하는 93대의 헌혈버스 가운데 매년 10여대가 노후화로 교체가 필요한 상황이나 예산 부족으로 한 해에 6대 정도밖에 교체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
이에 가뜩이나 코로나19 이후 헌혈 참여가 급감하며 의료 현장과 환자들이 겪는 어려움을 해소해 주기 위해 헌혈버스라는 기부 아이디어를 꺼내든 것이다. 이날 헌혈버스 전달식에서 200회 이상 헌혈에 참여해 온 삼성전자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의 편계현 프로는 대한적십자사로부터 명예대장을 받기도 했다.
삼성은 1996년부터 26년간 헌혈 캠페인을 펼쳐 왔는데 지금까지 1만 1000여명의 임직원이 ‘누군가 해야 한다면 우리가 먼저’라는 기치 아래 헌혈에 동참해 왔다.
2022-11-24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